[이데일리 김인경 기자] 우리 정부가 6월 말 서해에서 발견된 북한 주민 시신 1구를 오늘(5일) 판문점에서 인도할 계획이다. 다만 북한이 전날까지 대답이 없었던 만큼, 인도가 이뤄지지 않고 무연고 화장처리될 가능성이 크다.
|
5일 통일부에 따르면 정부는 판문점에서 가동됐던 직통전화 방식의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연락 채널을 통해 전날 오전과 오후에 각각 한 차례씩 북측과의 소통을 시도했으나, 북측은 통화에 응하지 않았다.
앞서 통일부는 지난달 29일 강화도 석모도 인근 해안에서 지난 6월 21일에 발견된 북한 주민의 시신 1구를 오는 5일 오후 3시에 판문점을 통해 인도하겠다고 북한에 공개 통보한 바 있다. 시신에서 발견된 증명서에 따르면 이 남성의 이름은 고성철이다. 1988년 10월에 태어나 황해북도 금천군 강북리에 거주하는 농장원으로 파악됐다.
통일부는 북한이 남북 연락채널을 통한 소통에 응하지 않아 언론을 통해 시신의 신원을 공개하고 인도 계획을 통보했다. 아울러 유엔군사령부를 통해 관련 내용을 여러 차례 북측에 통보하기도 했다.
북한은 지난 2023년 말 ‘적대적 두 국가’를 선언했다. 이어 대북 전단지 살포를 중단하고 대북방송을 멈춘 이재명 정부에 대해서도 비난을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28일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은 담화문을 통해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으며 한국과 마주 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북한의 기조를 봤을 때 시신 인도도 이뤄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정부는 시신 인도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무연고 화장 처리할 계획이다.
다만 일각에선 북한이 5일 전격적인 시신 인도에 나설 수도 있다고 보기도 한다. 북한은 지난달 9일 정부가 해상에서 표류하다 우리 측에 의해 구조된 북한 주민 6명을 동해상으로 송환할 때도 유엔군사령부를 통한 사전 통보에 답은 하지 않았지만, 정부가 통보한 일정에 맞춰 함정을 파견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의 태도와 상관없이 우리 정부는 대북 유화책을 계속 펼 전망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부터 대북 확성기 철거에 나서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