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아세안축구연맹(AFF) 23세 이하(U-23) 챔피언십 3연패를 달성한 김상식 베트남 감독이 제자들을 치켜세웠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김상식 감독이 이끄는 베트남 U-23 대표팀은 지난 29일(한국 시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의 겔로라 붕 카르노 스타디움에서 열린 인도네시아 U-23 대표팀과의 대회 결승전에서 전반 37분 응우옌 꽁 프엉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하고 우승했다.
김 감독의 매니지먼트사인 DJ매니지먼트에 따르면 김 감독은 경기 종료 후 “우리 선수들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싸워줘서 자랑스럽다”며 “큰 무대에서도 기죽지 않고 당당히 맞선 선수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며 승리를 축하해주고 싶다”고 칭찬했다.
이어 “응원해 주신 베트남 국민과 축구팬 여러분께도 깊이 감사드린다. “선수들이 이번 대회를 통해 많은 것을 경험하고, 우승을 통해 더 성장하고 발전했으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이날 승리로 베트남은 2022년과 2023년에 이어 3회 연속 U-23 아세안챔피언십 우승을 이뤘다.
또한 2005년부터 시작된 U-23 아세안챔피언십에서의 최다 우승 기록을 ‘3회’를 늘렸다.
김 감독 개인적으로도 뜻깊은 우승이다.
지난해 5월 베트남에 부임한 김 감독은 올해 1월 2024 동남아시아 축구선수권대회(미쓰비시컵)에 이어 U-23 아세안챔피언십까지 제패하며 두 번째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같은 해 미쓰비시컵과 U-23 아세안챔피언십을 동시에 석권한 사령탑은 김 감독이 역대 처음이다.
김 감독은 박항서 전 감독 이후 베트남을 다시 황금기로 이끌 사령탑으로 주목받는다.
다만 그는 감격스러운 우승에도 마냥 만족하지 않았다.
김 감독은 “아직 완벽한 팀은 아니”라며 “부족한 부분을 하나씩 보완해 앞으로의 대회와 경기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이날 김 감독은 테크니컬 에이리어에서 열정적으로 선수들을 지휘했다.
추가시간 5분이 훌쩍 지나자 주심에게 강력히 항의하는 모습도 있었다.
한편 일각에선 베트남이 터치라인 주위에 물병을 흩트려 스로인을 방해했다는 의혹이 피었다.
인도네시아는 로비 다위스를 활용한 롱스로인으로 여러 차례 날카로운 장면을 만들었는데, 종료 직전 터치라인에 있는 물병을 두고 양 팀 벤치가 신경전을 벌이기도 했다.
김 감독은 “물병은 일부러 놓은 것은 아니다. 더운 날씨 속에서 선수들이 쉽게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배려한 것”이라며 “오해를 불러일으킨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한다. 절대 고의는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이제 김 감독은 2027 아시아축구연맹(AFC) 아시안컵 최종 예선에 집중한다.
현재 베트남은 최종 예선 F조에서 승점 3(1승 1무·골 득실 +1)으로 말레이시아(승점 6·2승)에 밀려 2위다.
베트남은 오는 10월 4위 네팔(승점 0·2패)과 3, 4차전을, 11월 3위 라오스(승점 3·1승 1무·골 득실 -4), 1위 말레이시아와 5, 6차전을 치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