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북한의 비핵화를 목표로 한 북미 협상은 성사될 수 없다고 29일 밝혔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 부부장은 이날 대외매체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조미(북미) 사이의 접촉은 미국의 《희망》일 뿐이다’ 제목의 담화를 공개했다.
그는 최근 미국 백악관 당국자의 발언을 언급하며 “우리는 지난 조미대화에 대한 미국 측의 일방적 평가에 그 어떤 의미도 부여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백악관 당국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과거 세 차례 대면을 언급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 김 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열려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부부장은 “다만 지금 2025년은 2018년이나 2019년이 아니라는 데 대해서는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우리 국가의 불가역적인 핵보유국 지위와 그 능력에 있어서 또한 지정학적 환경도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엄연한 사실에 대한 인정은 앞으로의 모든 것을 예측하고 사고해 보는 데서 전제로 되여야 할 것”이라며 “그 누구도 현실을 부정할수 없으며 착각하지도 말아야 한다”고 했다.
또 “우리 국가의 핵보유국 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배격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은 자기의 현 국가적 지위를 수호함에 있어서 그 어떤 선택안에도 열려있다”고 밝혔다.
이어 “핵을 보유한 두 국가가 대결적인 방향으로 나가는것이 결코 서로에게 이롭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할 최소한의 판단력은 있어야 할 것이며 그렇다면 그러한 새로운 사고를 바탕으로 다른 접촉 출로를 모색해 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나는 우리 국가수반과 현 미국대 통령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나쁘지 않다는 사실을 부정하고 싶지는 않다”며 “하지만 조미 수뇌들 사이의 개인적 관계가 비핵화실현 목적과 한 선상에 놓이게 된다면 그것은 대방에 대한 우롱으로밖에 달리 해석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이 변화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만 집착한다면 조미 사이의 만남은 미국 측의 《희망》으로만 남아있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담화는 김 부부장이 “우리는 서울에서 어떤 정책이 수립되고 어떤 제안이 나오든 흥미가 없다”며 이재명 정부 출범 54일 만에 대북정책에 대해 첫 공식 입장을 낸 지 하루 만에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