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SPC그룹 8시간 초과 야근 폐지…“이틀 만에 변화로 답한 셈”

대통령실, SPC그룹 8시간 초과 야근 폐지…“이틀 만에 변화로 답한 셈”

이재명 대통령이 25일 경기 시흥시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열린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간담회에서 SPC 삼립 직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이 대통령 왼쪽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사진=연합뉴스]

[이뉴스투데이 방은주 기자] 대통령실은 27일 SPC그룹이 생산직 근로자들의 8시간 초과 야근을 폐지하기로 한 것과 관련 “이재명 대통령이 생명을 귀히 여기고 안전을 위한 비용을 충분히 감수하는 사회가 돼야 한다는 바람과 당부를 전한 지 이틀 만에 변화로 답한 셈”이라고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은 거듭된 산재 사망 사고가 일어나는 중대재해 피해가 일어나는 사업장을 방문해 과도한 노동 시간 내지는 연속 근로가 문제가 될 수 있음을 지적했는데 이 지적에 대해 기업이 움직임을 보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통령은 지난 25일 경기 시흥 SPC 삼립 시화공장에서 산업재해 근절 현장 노사 간담회를 진행했다. 간담회에서 이 대통령은 SPC그룹 노동자들이 비슷한 사고로 잇달아 목숨을 잃은 원인이 심야 시간대 장시간 노동일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일주일에 나흘을 밤 7시부터 아침 7시까지 12시간씩 일하는 게 가능한지 의문이 든다”고 거듭 질문했다.

강 대변인은 “안전한 사업장을 만들어서 일하러 가서 생명을 잃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는 게 이 대통령의 의지이자 뜻”이라며 “이 대통령의 행보가 생명과 안전을 중시하는 메시지 전파이지, 어떤 선을 정하고 이걸 넘으면 무조건 벌칙이라는 식의 그런 확정적 움직임은 아니다”라고 했다. 

강 대변인은 계속되는 산재 사망에 대해서는 “새로 임명된 고용노동부 장관을 통해서도 좀 더 유심히 들여다봐야 할 부분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대통령의 메시지가 실제로 기업을 움직이고, 재해를 줄일 수 있는데 영향을 미쳐야 한다’라는 이재명 정부 기조를 한 번 더 확인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강 대변인은 “노동자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로 한 기업의 이윤 추구는 어떤 이유로도 정당화될 수 없다”며 “이재명 정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산재 사망률 최상위라는 오명을 벗고, 행복하고 안전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