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면서 골드바 무기명 현금거래도 올해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민의힘 박성훈 의원이 한국조폐공사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조폐공사는 올해 1월부터 9월 말까지 210억4천100만원 규모의 골드바를 무기명 현금거래로 판매했다.
무기명 현금거래는 고객이 조폐공사에서 골드바를 현금으로 구매하고 현금영수증을 발급받지 않은 경우를 말한다.
골드바 무기명 현금 거래 규모는 ▲2023년 86억3천만원 ▲2024년 151억700만원 ▲올해 1∼9월 210억4천100만원 등으로 3년 연속 증가해왔다.
건수 기준으로도 ▲2023년 600건 ▲2024년 867건 ▲올해 1∼9월 965건 등으로 계속 증가세를 보여왔다.
특히 올해 거래 규모와 건수는 지난 2021년(307억2천800만원, 1천671건) 이후 최대다. 특히 거래 규모는 연말까지 3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전체 골드바 판매 중 무기명 현금 거래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들고 있다. 연도별로는 ▲2022년 37% ▲2023년 34% ▲2024년 29% ▲올해 1∼9월 22% 등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전체 판매 금액이 2022년 206억7천600만원, 2023년 250억5천500만원, 2024년 513억4천900만원, 올해 1∼9월 975억6천800만원 등으로 더 가파르게 증가했기 때문이다.
건수도 무기명 현금 거래 비중은 ▲2022년 29% ▲2023년 25% ▲2024년 23% ▲올해 1∼9월 18% 등으로 축소됐다.
최근 국제 금 가격은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온스당 4천400달러에 육박했다. 금값 상승에 따라 조폐공사는 지난 1일부터 시중은행에 골드바 전 제품 공급을 중단했다.
원자재 수급이 안정될 때까지 품귀 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조폐공사는 공기업이므로 고객 정보를 자체 보관하지만, 국세청 등과는 정보를 공유하지 않아 탈세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돼 온 바 있다.
박성훈 의원은 “무기명 골드바 구입이 급증하면서 ‘과세 사각지대’가 넓어질 수 있다”며 “음성 거래를 줄이기 위한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