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전국체전 4회 연속 종합 우승…’4관왕’ 황선우, 4번째 MVP(종합)

경기도, 전국체전 4회 연속 종합 우승…’4관왕’ 황선우, 4번째 MVP(종합)

사진 = 뉴시스

 

경기도가 전국체육대회에서 4회 연속 종합 우승을 달성했다. 대회 최우수선수(MVP)는 4관왕을 차지한 수영 황선우(강원도청)에게 돌아갔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경기도는 23일 막을 내린 제106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총 6만6595점을 획득해 개최지인 부산(5만6870점)을 제치고 1위에 올랐다.

이로써 경기도는 2022년부터 전국체전 4회 연속 종합 우승의 기쁨을 누렸다.

경기도는 2002년부터 2018년까지 17년 연속 전국체전 종합 우승을 독식했고, 제100회 대회였던 2019년에는 서울이 정상에 등극했다.

2020년, 2021년에는 코로나19로 인해 전국체전 개최가 무산됐고, 2022년부터는 다시 경기도가 종합 1위를 놓치지 않았다.

 

한국 수영 간판 황선우는 기자단 투표에서 득표율 91%를 기록해 전국체전 MVP에 선정됐다.

개인 통산 4번째 전국체전 MVP 수상이다.

코로나19 여파로 19세 이하부(고등부)로 축소해서 열린 2021년 전국체전에서 5관왕에 올라 처음 MVP를 수상한 황선우는 2022년(4관왕), 2023년(5관왕)에도 MVP를 거머쥐었다.

3년 연속 전국체전 MVP를 수상한 것은 황선우가 최초였다.

황선우는 지난해 전국체전에서 5관왕에 등극했지만, 양궁 4관왕을 차지한 임시현(한국체대)에 밀려 MVP를 놓쳤다.

이번 전국체전에서 쾌조의 컨디션을 과시한 황선우는 통산 4번째 MVP 수상에 성공했다.

전국체전 MVP 최다 수상 기록은 한국 수영의 ‘전설’ 박태환이 보유하고 있다. 박태환은 5차례(2005년·2007년·2008년·2013년·2017년) MVP를 품에 안았다.

황선우는 이번 대회에서 거침없는 역영을 선보였다.

19일 남자 일반부 계영 800m에 강원 팀 영자로 나서 7분12초65의 대회 신기록을 수립하며 첫 금메달을 획득했다.

20일에는 놀라운 질주를 펼쳤다.

자신의 주종목인 자유형 200m에서 1분43초92의 아시아신기록을 수립하며 금메달을 추가했다.

2023년 열린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자신이 금메달을 딸 때 세웠던 1분44초40의 종전 한국기록을 0.48초 앞당겼다.

아울러 쑨양(중국)이 2017년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에서 작성한 종전 아시아기록인 1분44초39도 넘어섰다.

황선우의 신기록 행진과 금메달 수집은 계속됐다.

그는 21일 개인혼영 200m에서 1분57초66의 한국신기록을 작성하며 금메달을 따냈다. 서울체고 3학년이던 2021년 제102회 전국체전에서 세운 자신의 기록(1분58초04)을 0.38초 단축했다.

같은 날 남자 계영 400m에서는 강원 팀 영자로 나서 3분11초52의 한국신기록 수립에 힘을 더했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 대표팀으로 나선 지유찬, 이호준, 김지훈, 황선우가 세운 종전 한국기록인 3분12초96을 1초44 줄였다.

황선우는 2021년 펼쳐진 2020 도쿄 올림픽 남자 자유형 100m 준결승에서 당시 아시아신기록인 47초56을 작성하며 혜성처럼 등장했다.

이후 월드클래스로 거듭났다. 세계선수권 남자 자유형 200m에서 3회 연속 메달을 일궜다.

2022년 부다페스트 세계선수권에서 1분44초47로 은메달을 땄고, 2023년 후쿠오카 대회에서는 1분44초42로 동메달을 수확했다. 2024년 도하 세계선수권에선 1분44초75의 기록을 금메달을 품에 안았다.

2022 항저우 아시안게임에서도 2관왕(자유형 200m·계영 800m)을 차지했다.

황선우는 2024 파리 올림픽에서 아픔을 겪었다. 유력 메달 후보로 거론됐던 황선우는 뜻밖의 컨디션 난조를 보이며 주 종목인 자유형 200m에서 결승에도 오르지 못했다. 준결승 9위(1분45초92)로 탈락했다.

황선우는 올해 싱가포르 세계선수권 자유형 200m에서도 4위(1분44초72)가 돼 아쉽게 메달을 놓쳤다.

하지만 이번 대회에서 아시아 신기록을 수립하면서 부활을 알렸다.

황선우는 대한체육회를 통해 “소중하고 뜻깊은 MVP를 수상할 수 있어 기쁘다. 자신감을 찾은 만큼 앞으로도 열심히 훈련해서 다가오는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은 물론, 로스앤젤레스(LA) 올림픽에서도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겠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이어 “목표로 한 아시아신기록을 세워서 지금까지의 노력이 보상받는 기분이 들었고, 이를 토대로 계속해서 노력하겠다. 앞으로도 많은 응원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

 

체조 신솔이(강원도체육회)와 수영 노민규(경기고), 양재훈(강원도청)은 대회 5관왕에 올랐다.

육상 단거리 기대주 나마디 조엘진(예천군청)은 성인 무대 데뷔 첫해에 남자 일반부 100m(10초35), 200m(20초70), 400m 계주를 석권하며 3관왕 쾌거를 달성했다.

역도 박혜정(고양시청)은 여자 일반부 87㎏ 이상급에서 인상 123㎏, 용상 155㎏, 합계 278㎏을 들어 올리며 2년 연속 전국체전 3관왕에 올랐고, 육상 우상혁(용인시청)은 남자일반부 높이뛰기 1위로 전국체전 통산 10회 우승을 차지하는 대업을 달성했다.

이번 대회에서는 세계신기록 1개, 아시아신기록을 포함한 한국신기록 12개, 한국 타이기록 1개, 한국 주니어 신기록 2개, 한국 주니어 타이기록 2개, 대회신기록 82개, 대회 타이기록 5개 등 총 105개의 기록이 나왔다.

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은 “참가 선수들의 값진 노력의 땀방울에 깊은 축하와 격려의 인사를 드린다”며 “스포츠를 향한 열기가 내년에 개최되는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 아이치·나고야 아시안게임으로 퍼져나갈 것”이라며 스포츠를 향한 국민의 관심이 향후 국제대회에도 이어지길 희망했다.

한편 전국체육대회기는 내년 개최지인 제주도로 이양됐다. 제107회 전국체육대회는 2026년 10월16일부터 22일까지 제주도 일원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