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고령층 진료 1위 ‘고혈압’…치과·만성질환 급증세

최근 10년간 고령층 진료 1위 ‘고혈압’…치과·만성질환 급증세

최근 10년(2015~2025년 7월) 동안 65세 이상 고령층이 가장 많이 진료받은 질환은 본태성 고혈압으로 나타났으며, 무릎관절증과 등통증이 뒤를 이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소병훈 의원(더불어민주당·경기 광주갑)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고혈압·무릎관절·등통증 상위 3대 질환

10년간 고령층 10대 질환 총 진료건수는 8억 7,717만 건이며, 하루 평균 24만 321건을 진료했다.

1위인 본태성 고혈압은 2억 3,252만 건으로 하루 평균 약 6만 3,000건이 진료됐고, 2015년 1,940만 건에서 2024년 2,453만 건으로 26.4% 증가했다.

상위 10대 질환에는 2형 당뇨병, 치은염 및 치주질환, 기타 척추병증, 급성기관지염, 전립선증식증, 어깨병변이 포함됐다.

고령층 의료이용이 만성·퇴행성 질환 중심으로 고착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진료비 47조 원, 공단 부담 77%

10년간 10대 질환 총 진료비는 47조 3,190억 원이다.

이 가운데 건강보험공단 부담금이 36조 3,950억 원으로 약 77%를 차지했고, 본인부담금은 10조 9,230억 원으로 약 23%였다.

재정 부담이 공공부문에 집중된 구조다.

▲비용 측면

비용 측면에서는 무릎관절증과 만성신장병의 비중이 높아 두 질환에 진료비가 절반 가까이 집중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무릎관절증은 7조9,186억 원, 만성신장병은 8조7,735억 원의 공단 부담금이 발생했다.

▲치과·대사성 질환 증가율 두드러져

증가 속도는 치과 및 대사성 질환이 가장 빠르게 나타났다.

치은염 및 치주질환이 10년 새 138.9%로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고, 2형 당뇨병 64.1%, 만성신장병 58.4%, 전립선증식증 40.5%, 급성기관지염 35.6% 순으로 증가했다.

이는 고령층에서 구강 건강 및 생활습관 관련 질환의 부담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치과 질환의 급증은 예방적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1차 의료 중심 관리 체계 구축 시급

소병훈 의원은 “고혈압과 당뇨병, 치주질환, 신장질환은 단순히 한 번의 치료로 끝나는 병이 아니라, 꾸준하고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라며 “치료를 줄이자는 뜻이 아니라, 오히려 어르신들이 더 적시에, 더 적정하게 치료받을 수 있도록 요양병원과 지역사회 의료기관, 공공의료, 돌봄체계가 역할을 분담하고 긴밀히 연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료비 지출이 사망 직전이나 특정 시기에 집중되는 구조를 완화하고, 질병이 악화되기 전에 1차 의료를 중심으로 조기에 관리·치료하는 체계를 서둘러 설계해야 한다”며 “이는 국가 재정을 아끼자는 차원이 아니라, 어르신들의 건강과 삶의 질을 지키는 동시에 의료체계를 지속 가능하게 만들기 위한 투자”라고 말했다.

한편 ▲최근 10년간 (2015~2025.07) 65세 이상 10대 질환별 현황, ▲최근 10년간(2015-2025.07) 65세 이상 10대 질환별 증가율 등은 (메디컬월드뉴스 자료실)을 참고하면 된다.

[메디컬월드뉴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