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노위 국감서 증인 채택 공방…국힘 “간첩 판결 민주노총 간부 불러야”

환노위 국감서 증인 채택 공방…국힘 “간첩 판결 민주노총 간부 불러야”

사진 = 뉴시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여야는 15일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국가보안법 위반(간첩) 혐의로 징역형을 받은 민주노총 간부를 증인으로 채택하는 문제를 두고 충돌했다.

안호영 환노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고용노동부 등에 대한 환노위 국감이 시작된 지 약 30분 만에 정회를 선언했다.

국감 시작과 함께 국민의힘 측에서 추가 증인 채택을 요구했고, 이 문제를 두고 여야 의원 간의 설전이 길어진 탓이다. 이 과정에서 양측의 고성이 오가기도 했다.

우재준 국민의힘 의원은 “민주노총 주요 간부들이 간첩 활동을 했고, 지지난주에 확정 판결이 났다”며 해당 민주노총 간부에 대한 추가 증인 채택을 신청했다.

우 의원은 “이와 관련된 분들은 국감에 불러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민주노총은 여기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는지, 재발 방지 대책이라든지, 노동조합을 관리하는 고용노동부에서는 이런 점들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같은 당 김위상 의원은 “이번 사건은 민주노총의 간첩 활동 사건”이라며 “지도부 내에서 조직적으로 움직인 부분이 있고, 민주노총 위원장이 이 자리에 증인으로 나와야 된다”고 말했다.

이에 정혜경 진보당 의원은 “김 의원의 발언은 용납할 수 없고, 민주노총의 명예를 훼손시킨 것”이라며 “김 의원은 발언을 취소하고 민주노총 조합원들에게 공식적으로 사과할 것을 안 위원장에게 요청한다”고 했다.

박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김 의원 발언에 대해 강력한 항의와 함께 후속 조치를 요구하겠다”며 “(간첩 판결을 받은) 조직쟁의국장이 지도부인가. 발언을 취소해야 하고 분명한 사과를 요구한다”고 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직원에 대한 부분들도 지도부에 책임이 있는 것”이라고 반박했고, 정 의원 등은 목소리를 높여 이에 대한 사과를 계속해서 요구했다.

안 위원장은 중재에 나섰지만 소란이 잦아들지 않았고, 약 20분 간 감사가 중지됐다.

김 의원은 이후 재개된 국감에서 “큰 소리가 오간 데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며 “순수한 노동 운동을 해야 할 노동단체가 간첩 활동에 휘말리면 국민들이 보기 얼마나 안 좋은 시각으로 보겠나. 그래서 문제 제기를 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도부라고 (언급)한 부분에 있어서는 사과한다’면서도 “하지만 지도부도 그 책임에서 실제로 벗어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