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예인 등 유명인을 대상으로 악의적 이슈를 편집해 수익을 올리는 ‘사이버레커’ 피해를 입은 유튜버 쯔양(본명 박정원)이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란다.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쯔양은 14일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 참고인으로 출석해 ‘협박·공갈’ 피해 당시 유튜브 등으로부터 신속한 도움을 받지 못했던 당시 상황을 증언했다.
쯔양은 “(협박을 당할) 당시 심정은 정말 아무것도 할 수 없을 만큼 굉장히 두렵고 많이 막막한 상황이었다”며 “솔직히 그들(사이버레커)의 보복이 두려워서 아무것도 대응을 할 수 없었고 소송조차도 할 수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이 “유튜브가 이 문제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대응했는가”라고 묻자 쯔양은 “사실 쉽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영상 확산 속도는 굉장히 빠르고 하루 만에 수십만명이 보는데 지워지는 절차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오해를 풀기가 굉장히 어려웠다”고 답했다.
그는 신고한 영상이 삭제되는데 까지 걸린 기간에 대해 “짧게는 1주일에서 길게는 아예 지워지지 않았던 영상들도 있다”고 말했다.
이날 국감에서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은 “사이버레커 문제가 매우 심각한 사안인데, 쯔양과 같은 유명인 뿐 아니라 일반 시민이 비슷한 피해를 입었다면 대응이 정말 어려웠을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김장겸 국민의힘 의원은 “소위 좌표를 찍고 조리돌림해서 수익을 내는 구조 등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쯔양은 “제가 이 자리에 온 것은 제가 겪은 피해를 바탕으로 같은 피해자가 나오지 않기를 바라면서 나왔다”며 “이 자리에 계신 의원님들과 전문가분들께서 꼭 사회에 필요한 제도를 만들어 주시기를 바라는 마음”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인터넷에서 누군가에게 글을 남길 때는 상대방도 감정이 있고 똑같이 기쁨과 슬픔을 느끼는 사람이라는 것을 한 번만 꼭 생각해 주시고 댓글이나 글을 남겨 주셨으면 하는 바람”이라고도 덧붙였다.
한편, 지난해 10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쯔양은 사이버레커 유튜버로 알려진 ‘구제역’ 등에게 협박을 당해 수천만원을 갈취 당했다.
수원지법은 구제역에게 항소심에서 징역 3년을 선고했고, 서울 강남경찰서 또한 지난 달 유튜브 채널 ‘가로세로연구소’ 대표 김세의씨에 대해 쯔양을 비방하고 협박한 혐의 등으로 검찰에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