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신문 강현민 기자】 교촌치킨을 운영하는 교촌에프앤비가 국정감사에서 제품 중량 축소 논란과 원재료 수급 문제, 가맹점 대상 보복 의혹 등 복합적인 비판에 직면했다. 가격은 그대로 두고 양과 품질을 줄였다는 지적부터 소비자 고지 부실, 가맹점 피해 전가까지 본사의 경영 책임을 묻는 질타가 이어졌다.
14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교촌이 지난달부터 순살치킨 한 마리 중량을 700g에서 500g으로 줄이고도 가격을 유지한 점을 문제 삼았다. 이는 제품의 가격을 그대로 두면서, 중량 등을 줄여 실제로 가격 인상 효과를 주는 “전형적 ‘슈링크플레이션’ 사례”라는 게 이 의원의 지적이다.
특히 변경 사실을 소비자에게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는 점도 도마에 올랐다. 이 의원은 “치킨의 주요 구매 창구가 배달앱인데, 이곳에는 중량 축소 정보가 표시되지 않았다”며 “소비자 입장에서는 변화를 알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교촌 측은 변경 사실을 자사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했지만, 주요 주문 채널인 배달앱이나 오프라인 매장 메뉴판에는 관련 내용이 반영되지 않았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품 구매 단계에서 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는 지적이다.
이 의원은 교촌이 지난 2018년 업계 최초로 배달료를 도입하며 ‘2만 원 치킨 시대’를 연 사례를 언급하며, “과거 논란을 고려했다면 이번에도 소비자에게 명확히 알리는 절차를 거쳤어야 했다”고 비판했다. 또 치킨이 국민 생활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큰 만큼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의 적극적 대응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공정위 주병기 위원장은 “치킨 가격과 중량 문제는 물가에도 영향을 주는 사안으로 제도 개선을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교촌에프앤비 송종화 대표는 ‘앞으로 홈페이지나 배달앱, 오프라인 매장 등에 변경 내용을 명확히 고지할 의향이 있느냐’는 이 의원의 질의에 “그렇게 하겠다”고 답했다.
원재료 공급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은 “교촌은 2019년과 2020년에도 공급 차질로 공정위에 신고됐지만 개선되지 않았고, 최근에는 공급률이 30%대까지 떨어졌다”며 “닭다리살 대신 닭가슴살을 섞어 단가를 낮추고, 부족한 원재료 부담을 소비자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본사가 원재료를 제때 공급하지 않으면서도 가맹점의 외부 구매를 ‘브랜드 가치 보호’를 이유로 금지했다”며 “공정위 신고 후 두 달 만에 계약 갱신을 거절한 것은 사실상 보복 조치”라고 주장했다. 이에 주 위원장은 “현재 해당 사안을 조사 중이며, 불공정 거래가 확인되면 법에 따라 엄정히 조치하겠다”고 밝혔다.
송 대표는 원재료 수급 불안이 특정 부위에 의존하는 구조적 한계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급망 다변화와 안정화 방안을 검토하고 있으며, 가맹점 운영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외부 사입 허용은 브랜드 경쟁력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가맹점들의 생업 유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