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이데일리 김유성 기자]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난항을 겪고 있는 미국과의 관세협상이 타결될 것이라고 낙관했다. 관세 부과에 따른 한국 기업의 피해가 누적될 수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에 결론을 짓는 게 국익에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다.
|
위 실장은 23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기자들을 만나 “(양국 간) 입장이 무리하거나 억지를 부리는 게 아니고, (협상 조건 등이) 합리적이기 때문에 접점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세부 사항에 이견이 많지만 충분히 접점을 찾아나갈 수 있을 것”이라면서 “가급적 빨리 타결하는 게 좋다. 기업들의 예측 가능성을 위해서라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 실장은 전날(22일) 있었던 미 상하원 의원단과 이재명 대통령과의 접견 때 있었던 일도 함께 전했다. 이 대통령이 관세 협상과 관련해 우리 입장을 의원단에 전했다는 취지다. 그는 “우리가 어떤 점에서 난점을 갖고 뭐가 문제인지를 설명했다는 뜻”이라고 부연했다.
위 실장은 이 대통령이 관세 협상과 관련해 어떤 입장을 드러냈는지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다만 최근 이 대통령이 외신 인터뷰 등에서 밝혔던 부분을 유추해보면 3500억달러 규모 대미투자펀드를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이 대통령은 타임과 로이터 등 외신 인터뷰를 통해 직간접적으로 미국의 요구를 수용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국의 경제 규모나 외환 보유고를 기준으로 봤을 때 무리라는 의미다.
이 대통령이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자주 국방을 언급하면서 이 같은 추측은 더 커졌다. 그는 지난 21일 SNS에서 “외국 군대가 없으면 자주 국방이 불가능한 것처럼 생각하는 것은 굴종적 사고”라고 했다. 주한미군을 염두에 두고 쓴 글이라는 해석이 덧붙으면서 여러 논란이 일었다. 한미 협상이 미국의 무리한 요구로 교착상태에 빠졌다는 점을 고려하면 여러 해석을 낳을 수 있다.
이 같은 상황에도 위 실장은 한미 정부가 접점을 찾고 협상에도 타결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을 했다. 그는 “가급적 빨리 타결하는 것이 좋다”며 “기업들의 예측 가능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타결 시점에 대해서는 “APEC 정상회의가 계기가 되면 좋겠지만, 그 이전이라도 타결되면 된다”면서 “협상이 진전되면 언제든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전날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 상·하원 외무위원회 소속 의원들을 만나 한국 측의 입장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은 “한국 외환시장에 불안정이 야기될 우려가 있다”고 언급하면서도 결국 “양측이 ‘상업적 합리성’이 보장되는 방식으로 해결책을 찾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통상 협상 과정에서 금융시장 안정을 고려하겠다는 기조를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