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심장사상충 주의보…고양이도 예외 없다!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심장사상충 주의보…고양이도 예외 없다!

#1.

[반려동물 건강이야기]

심장사상충 주의보

고양이도 예외 없다!

 

#2.

심장사상충은 모기를 중간숙주로 삼습니다.

모기 몸속 심장사상충 유충의 희망은

최적의 최종숙주인 강아지의 몸속으로 침투해

성충으로 자라서 짝짓기하고 새끼를 퍼뜨리는 것!

그런데 모기가 고양이를 물어버린다면?

(심장사상충 유충) 아… 이러면 낭팬데…

(심장사상충 유충) 일단 침투하고 보자

심장사상충 유충도 고양이도 곤란해집니다.

 

#3.

고양이는 심장사상충에 감염될 수 있지만

심장사상충의 정상적인 최종숙주는 아닙니다.

고양이의 몸에 침투한 심장사상충 유충들은

대부분 성충이 되기 전 면역반응으로 죽습니다.

전멸될 수도 있고 극소수만 살아남을 수도 있습니다.

살아남아 성충으로 자라는 심장사상충은

보통 한두 마리이며, 많아 봤자 6마리 미만입니다.

(고양이1) 심장사상충 별것 아니네

(고양이2) 뭘 모르는 소리!

 

#4.

심장사상충 유충을 죽이는 고양이의 면역반응은

유충이 폐동맥에 도착했을 때 일어납니다.

이때 격렬한 염증반응이 나타나면서

심각한 호흡기질환이 발생합니다.

(고양이1) 켁켁

(고양이2) 그래서 고양이가 심장사상충에 감염됐을 때의

대표적인 증상이 기침인데,

고양이 기침의 주원인이 천식이라서

천식으로 오인되기 십상!

 

#5.

유충이 면역반응에서 살아남아 성충이 되면

고양이 몸속에 시한폭탄이 든 것과 같습니다.

성충이 고양이 몸속에서 단 한 마리만 죽더라도

사체가 혈전으로 작용하고 급성 폐손상이 일어나

고양이까지 목숨을 잃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 물귀신이 따로 없구만…

 

#6.

[24시 안산 온누리동물메디컬센터 박한별 대표원장/경기도수의사회 학술위원]

고양이가 심장사상충에 감염되면 치료제가 없습니다.

증상을 완화하는 관리가 최선책입니다.

그래서 고양이도 심장사상충 예방이 중요합니다!

 

#7.

(고양이1) 심장사상충 예방약은 회충·벼룩 등

다른 기생충도 구충하니까

1달에 1번 투약해서

‘일석다조’ 효과를 누리세요~

(고양이2) 고양이가 심장사상충에

감염됐는지 확인하려면

여러 검사가 필요하지만,

매년 챙겨줄 수 있다면

당신은 1등 집사!

 

#8.

[24시 안산 온누리동물메디컬센터 박한별 대표원장/경기도수의사회 학술위원]

“오늘은 미국심장사상충학회의 권고사항으로

제 의견을 대신하고자 합니다.”

고양이에게 1년 내내 심장사상충 예방을 해주고

매년 심장사상충 검사를 해줄 것을 권장합니다.

-미국심장사상충학회(American Heartworm Society)-

 

기획 | 당신을 위한 건강신문 ‘헬스경향’

제작 | 수의사도 사용하는 펫콘텐츠 플랫폼 ‘펫메이트’

자문 | 박한별 24시간 안산 온누리동물메디컬센터 대표원장(경기도수의사회 학술위원)

정리 | 조선빈 기자

ⓒshutterstock.com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