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감 직무수행 만족도 시민단체 설문조사 논란(종합)

전남교육감 직무수행 만족도 시민단체 설문조사 논란(종합)

만족도 30%대로 낮게 나오자 도교육청 “왜곡·편향”

전남교육회의 “설문 표집 대표성 한계 있지만 살펴볼 만해”

전남도교육청

[연합뉴스 자료사진]

(무안=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직무수행 만족도나 교직원과 소통 등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가 긍정적인 반응보다 많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남도교육청은 설문 대상 표본의 한계와 조사방식의 객관성 공정성을 지적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전남지역 교육 관련 교원·시민사회단체 연합기구인 ‘전남교육회의’는 20일 이 같은 내용의 ‘민선4기 김대중 전남도교육감 2주년 교육정책 평가 여론 설문조사 보고서’를 발표했다.

설문조사는 올해 6월 24일부터 7월 13일까지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전남교육회의 회원과 단체를 중심으로 한 도민 1천19명(학부모 296명 포함)과 교직원 1천457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여론조사 방식을 이용해 이뤄졌다.

도민 대상 설문조사에서는 교육감 직무수행 만족도, 교육감의 혁신 실천, 학생 기초학력 향상, 교권 보호 및 교사 전념 환경 등 4개 질문 항목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긍정적인 반응보다 컸다.

전남 학생들의 기초기본학력 향상에 대한 질문에는 응답자의 50.73%가 ‘아니다’ 또는 ‘비교적 아니다’며 부정적으로 답했으며 긍정적인 응답은 30.23%에 그쳤다.

교육감 직무수행 만족도와 혁신 실천 여부에 대해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긍정적인 반응보다 많았다.

직무수행 만족도 질문에는 도민 응답자 41.31%가 부정적이었으며 긍정적인 대답은 37.38%였다. 교육감의 혁신 실천 여부도 부정적인 대답이 42.4%였으며 긍정적인 대답은 39.35였다.

소통·민원 처리 질문에서는 긍정적인 대답이 많았으며, 인사 예산 청렴성은 긍정(40.14%)과 부정(39.74%)이 비슷했다.

교직원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부정적인 반응이 더 많았다.

직무수행 만족도는 부정 51.8%·긍정 32.8%였으며, 교직원과 소통은 부정 57.8%·긍정 28.2%, 청렴도 향상은 긍정 45.6%·부정 29.5%, 근무환경개선·권익보호는 부정 57.5%·긍정 30%였다.

특히 교육감 정책 중 가장 잘한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에 ‘잘 모르겠다’는 답변이 27.7%로 가장 많았다.

가장 미흡한 정책으로는 학교구성원 근무여건 개선, 향후 최우선 과제로는 교사수업 전념환경 조성을 꼽았다.

전남교육회의 관계자는 “교육회의 회원을 중심으로 설문한 결과로 표집 대표성에 한계가 있지만 교육감과 도교육청 교육정책에 대한 여론은 살펴볼 만하다”며 “설문조사가 주는 시사점을 무겁게 받아들여 반영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설문조사 결과에 전남도교육청은 이날 입장자료를 내고 “일부 단체 회원들을 중심으로 한 여론조사가 마치 도민 전체 여론인 것처럼 발표하는 것은 문제”라고 반발했다.

도교육청은 “설문 문항이 부정적 전제를 포함해 부정적 결론을 도출했다”며 “긍정적 성과도 의도적으로 축소 배제해 전남교육 전반에 대한 평가를 왜곡했다”고 지적했다.

도교육청은 “편향적 자료를 여론으로 둔갑시켜 전남교육을 뒤흔드는 행위는 용납될 수 없다”며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자료와 현장의 실제 목소리를 토대로 교육 행정을 구현하겠다”고 밝혔다.

betty@yna.co.kr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