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가축분뇨를 고체연료로 전환해 온실가스를 감축하고 재생에너지원 비중을 높이는 종합대응에 나선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12일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지자체·발전사·연구기관 등 15개 기관이 참여하는 ‘가축분 고체연료 활성화 공동기획단’을 공식 출범시켰다고 16일 밝혔다.
기획단은 연말까지 고체연료 품질개선, 수요처 및 생산설비 확충 방안 등을 담은 활성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폐기물에서 에너지원으로…고체연료 주목 이유는?
그동안 가축분뇨는 퇴비나 액비로 주로 활용됐지만, 악취 민원·경작지 부족·수질오염 문제로 기존 처리 방식의 한계가 드러났다.
이에 가축분뇨를 건조·성형해 발전용 고체연료로 전환하는 방식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고체연료는 퇴비보다 처리 속도가 훨씬 빠르고 안정적이어서 악취 발생을 줄이고, 농장 내 위생 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아울러 가축분뇨가 하천이나 호소로 유출되는 것을 줄여 수질 오염을 막고, 농경지에 과도하게 뿌려지는 양분 부담도 줄이는 효과까지 기대된다.
특히 온실가스 배출도 낮출 수 있어, 축산업의 저탄소 전환을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되고 있다.
◆시험 발전 성공하며 활용 가능성 확인…품질·설비 과제 남아
정부는 지난해 6월과 올해 6월 한국남부발전·남동발전과 시험 발전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산업 활용 가능성과 초기 수요를 확인했다.
다만 대규모 활용까지는 염소 등 부식 유발 성분 저감, 품질 기준 현실화, 생산시설 구축 등 과제가 남아 있다.
이에 정부는 올해 초부터 가축분 고체연료 관련 다부처 연구개발(R&D) 기획과 규제 개선 방향 설정 등 기반 작업을 진행해왔으며, 이번 공동기획단 출범으로 본격적인 활성화 방안 마련 단계에 들어섰다.
◆현장·학계선 “규제 완화·지원 확대 필요” 목소리
지난 12일 열린 공동기획단 킥오프 회의에서는 발전업계가 태양광·풍력의 간헐성을 보완할 안정적 에너지원으로 고체연료의 가능성을 언급하며 발전설비 보완과 품질 기준 완화를 강조했다.
농업 분야에서는 지역 내 자원 순환과 환경 개선 효과를 높이 평가했지만, 법령상 품질 기준이 높아 시설·운영비 부담이 크다는 점에서 지원 확대 필요성도 제기됐다.
김종구 농식품부 식량정책실장은 “공동기획단을 중심으로 다양한 현장 목소리를 수렴해 실효성 있는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R&D 투자, 규제 개선 등이 적기에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도 적극 지원해 2030년까지 가축분 고체연료가 재생에너지의 핵심 자원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