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경북 사과농가, 산불피해 5개월 지났지만 여전한 ‘그날의 상흔’

[현장] 경북 사과농가, 산불피해 5개월 지났지만 여전한 ‘그날의 상흔’

수확철 앞두고 사과 없이 잎만 무성한 나무들…피해 복구 최소 3∼5년 걸릴 듯

美 사과 수입 논의에도 촉각…농민들 “경쟁력 갖출 시간은 줘야”

산불 피해 입은 과수원

[촬영 황수빈]

(안동=연합뉴스) 황수빈 기자 = 대형 산불이 휩쓸고 간 지 5개월이 지났지만 경북 지역 사과 농가들은 아직도 산불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산불 피해를 완전히 회복하려면 최소 수년은 걸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런 가운데 최근 한미 관세협상 타결 과정에서 미국산 사과 등 농산물 수입 검역과 관련된 논의가 오갔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농민들의 시름은 깊어지고 있다.

11일 오전 경북 안동시 길안면 배방리 마을.

60여 가구가 사과 농사를 지으며 살고 있는 이곳은 산골짜기에 자리 잡고 있어 지난 3월 경북 산불 피해가 유독 심했다.

이날 마을 입구 부근 과수원에서 만난 송규섭(54)씨는 제초 작업에 여념이 없었다.

그는 지난해 11월 귀농해 처가 과수원을 물려받았지만 불과 수개월 만에 산불로 사과나무 900그루 중 300여 그루와 집을 잃었다.

송씨의 과수원은 얼핏 겉으로 보기에는 멀쩡해 보였다.

하지만 송씨의 안내를 따라 산과 가까운 과수원 깊숙한 곳으로 들어가자 다른 풍경이 펼쳐졌다.

산불 피해로 자라난 옅은 색깔의 나뭇잎(오른쪽)

[촬영 황수빈]

산과 가까운 곳에서 산불의 열기를 직격탄으로 맞은 사과나무들은 줄기가 하얗게 변해있거나 나뭇잎이 시들시들한 모습이었다.

해당 나무에는 영양분을 제대로 공급받지 못해 작은 크기의 사과들이 맺혀있었다.

이런 사과는 상품 가치가 없어 내다 팔 수도 없다고 한다.

송씨는 “장인어른과 장모님이 30년간 길러온 나무들인데 가망이 없어 보여서 다 베고 새롭게 심으려고 묘목을 1천800개 주문해놨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송씨가 관리하는 과수원 중 산과 떨어진 곳은 그나마 사정이 나았다.

이곳에 있는 사과나무들도 산불의 피해를 봤지만 가지를 베어낸 자리에 새롭게 싹이 돋아나고 있었다.

이 경우 제대로 된 사과가 맺히려면 최소 3년은 기다려야 한다고 한다.

이는 심고 나서 완전히 자라기까지 5년이 걸리는 사과나무 묘목보다 상대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이 짧은 편이다.

병해충 발생한 나뭇잎

[촬영 황수빈]

이날 살펴본 배방리 마을 과수원은 사정이 대부분 비슷했다.

어떤 과수원에는 사과나무에 열매는 없고 잎만 무성히 자라있었다.

피해 복구에 한창인 주민들에게는 최근 한미 간 얘기가 오간 것으로 전해진 사과 등 미국산 농산물 수입 검역 협상도 하나의 고민거리다.

미국은 농산물 수입 시 거쳐야 하는 우리나라의 위생·검역(SPS) 규제 완화를 꾸준히 요구해왔는데 이에 대해 농림축산식품부는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미국 전담 직원을 두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송씨는 “이른 시일 내에 미국산 사과가 들어오게 된다면 산불로 피해를 본 경북 지역 과수 농가들은 무방비 상태에서 당하게 되는 꼴”이라며 “적어도 수입 사과와 경쟁력을 갖출 수 있게 시간을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남정섭 배방리 마을 이장도 “지역 마을 주민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며 “당장 사과를 수입하게 되면 지역 농가는 다 파탄 날 수도 있다”고 했다.

산불 피해로 나뭇잎이 작게 자라난 모습

[촬영 황수빈]

경북도에 따르면 지난 3월 산불로 인해 피해를 본 지역 사과 농가 면적은 모두 1천560㏊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안동 778㏊, 의성 357㏊, 청송 298㏊ 등이다.

사과 농가의 피해 복구를 위해 지원된 예산은 191억2천400만원이다.

hsb@yna.co.kr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