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윤지 기자] 엔비디아와 AMD가 대중 반도체 판매 수익의 15%를 미국 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했다고 10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
소식통은 두 회사가 대중 수출 허용을 조건으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와의 합의에 동의했다고 말했다. 엔비디아와 AMD는 각각 중국 수출용인 인공지능(AI) 칩인 H20와 MI308의 판매 수익 15%를 트럼프 행정부에 제공할 예정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렇게 벌어들인 수입의 사용처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초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와 백악관에서 비공개 면담을 진행했고, 같은 달 중순 황 CEO는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 H20의 중국 판매 금지를 철회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당국은 중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던 지난 4월 H20, MI308의 중국 수출을 제한한 바 있다.
문제는 그 이후 약 3주 동안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나 AMD에 수출 면허를 발급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에 황 CEO는 애플의 대미 시설 투자 발표식이 열렸던 지난 6일 백악관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다시 만났고, 지난 8일부터 상무부가 수출 면허를 발급하기 시작했다고 FT는 설명했다. FT 보도대로라면 엔비디아와 AMD가 이 과정에서 중국 수출용 AI 칩 판매 수익의 15%를 트럼프 행정부에 지급하기로 합의하면서 중국으로의 수출이 실질적으로 재개된 것이다.
FT는 “전례 없는 합의”라고 평가했다. 어떤 미국 기업도 수출 허가를 받기 위해 수익의 일부는 정부에 지불하는 데 동의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FT는 “이 합의는 미국의 일자리와 수익 창출 차원에서 관세를 빌미로 대미 투자 등을 글로벌 기업들에 유도하는 트럼프 정부의 (협상) 패턴과 일치한다”고 지적했다.
AMD가 FT의 논평 요청에 응하지 않았으나 엔비디아는 합의에 대한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다. 엔비디아는 “우리는 전 세계 시장 참여를 위해 미국 정부가 정한 규칙을 준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같은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H20 수출 금지를 번복한 것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가운데 나왔다. 미 안보 전문가들은 H20이 중국 수출용 저사양 AI 칩이나 궁극적으로 중국군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트럼프 정부 1기 당시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부보좌관을 지낸 매튜 포틴저 등 외교·안보 전문가 20명은 최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H20에 대한 수출 면허를 발급하지 않을 것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