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정례 한미연합훈련인 ‘을지자유의방패'(UFS)를 규탄하며 “계선을 넘어서는 그 어떤 도발행위에 대해서도 자위권 차원의 주권적 권리를 엄격히 행사할 것”이라고 11일 밝혔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노광철 북한 국방상은 이날 북한 주민들이 보는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을 통해 ‘미한(한미)의 적대적 위협으로부터 국가의 안전 이익을 수호하는것은 공화국 무력의 절대 사명이다’ 제목의 담화를 공개했다.
그는 “우리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과의 군사적 대결 입장을 여과 없이 노출시키고 조선반도와 지역의 안보 환경에 또 다시 심각한 도전을 가해오고 있는 미한의 도발 행위를 강력히 규탄하며 그것이 초래할 부정적 후과에 대해 엄중히 경고한다”고 했다.
이어 “실제적인 핵 전쟁 상황을 가상하여 진행되는 《을지프리덤쉴드》는 우리 국가에 대한 직접적인 군사적도발”이라며 “정전상태인 조선반도 정세의 예측 불가능성을 증폭시키고 지역정세의 불안정화를 고착시키는 진정한 위협”이라고 밝혔다.
또 “그 누구의 《위협》을 억제한다는 미명 밑에 감행되는 미한의 일방적인 군사적 위협과 대결 기도야말로 조선반도와 주변지역 정세가 날로 부정적으로 변화되고있는 근본 이유”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향한 무력 시위는 분명코 미한의 안보를 보다 덜 안전한 상황에 빠뜨리는 역효과를 가져오게 될 것”이라고 했다.
그는 “힘의 견지에서 적수국들의 공격 행위를 억제하고 군사적 도발에 대응하며 국가의 안전과 지역의 평화를 수호하는 것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무력의 절대적사명”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우리 무장력은 철저하고 단호한 대응태세로 미한의 전쟁연습 소동에 대비할 것”이라고 했다.
한미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첫 연합훈련인 UFS를 18~28일 진행한다고 7일 발표했다. UFS 기간 시행될 예정이었던 야외기동훈련의 절반이 폭염 등을 이유로 다음달로 연기됐다.
이는 연일 유화 메시지를 발신하고 있는 새 정부 대북 기조가 반영된 조치로 해석됐다. 북한은 통상 한미 연합훈련 기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동생인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 담화 등을 통해 예민하게 반응해왔다.
앞서 김 부부장은 한미 연합훈련의 축소 혹은 유예를 대화 조건으로 내걸었다고 해석될 여지가 있는 대남 담화를 발표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