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임원의 가혹행위 사실이 세상에 알려졌음에도 한국프로골프협회(KPGA)가 가해자를 두둔하는 태도를 유지하자 KPGA 노동조합은 조직이 붕괴되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KPGA 노조는 7일 입장문을 내고 “이번 사건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조직 전체의 도덕성과 신뢰성이 걸린 사안”이라고 날을 세우며 “피해 직원들은 현재 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노조는 지난 4일 열린 KPGA 징계위원회의 재심에 대해 문제를 제기했다.
노조는 “징계위원회 재심은 초심과 동일한 구성원으로 진행됐다”며 “여전히 공정성과 독립성은 물론 절차적 정당성까지 확보하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또한 “KPGA는 피해 직원들에게 단행했던 징계를 유지함으로써 보복의 악순환을 심화시켰다”며 “일부 피해 직원에 대한 징계는 보류 상태로 남겨진 만큼, 추가적인 보복 가능성까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도 우려했다.
노조는 “KPGA는 직장 내 괴롭힘 사건의 피해 직원들에게 보복성 징계를 강행하며 사태를 노사대립으로 키우고 있다”며 “이는 무엇이 문제인지 인정하지도, 알려고도 하지 않는 뻔뻔한 행태”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앞서 KPGA 노조는 지난해 12월 협회 고위임원 A씨가 직원 B씨에게 욕설을 일삼고, 업무적 실수를 약점 삼아 사직 각서를 제출하게 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노조는 당시 A씨가 각서를 근거로 B씨에게 퇴사까지 강요하는 등 괴롭힘을 자행했다고도 주장했다.
이에 KPGA는 A씨에게 무기한 직무 정지 징계 처분을 내리고, 자체 조사위원회를 꾸려 전수 조사를 실시해 10명 이상의 추가 피해 사례를 확인했다.
하지만 지난달 8일 KPGA는 A씨가 아닌 피해 직원들을 대상으로 징계위원회를 열고, 해고와 견책, 경고 등의 무더기 징계를 내렸다.
논란이 거세지고 나서야 KPGA는 지난달 25일 긴급 이사회를 열고 해당 임원을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건이 알려진 지 8개월 만이다.
하지만 지난 4일 진행된 재심에서도 피해 직원 2명의 해고는 그대로 유지됐고, 다른 두 명 중 1명은 견책, 나머지 1명은 여전히 보류 처리하며 피해 직원 구제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 외 피해 직원 9명에 대한 견책이나 경고 조치에 대해서는 재심의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노조는 물론 업계 관계자들도 “피해자에게만 불이익을 주고 가해 구조에 대한 책임을 외면한다면 사태의 본질은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며 “국회와 정부의 철저한 진상 규명과 제도적 개입이 불가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