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뉴욕증시가 미국 서비스업의 관세 여파로 하락세를 보이며 마감했다.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61.90포인트(0.14%) 하락한 44,111.74에,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30.75포인트(0.49%) 떨어진 6,299.19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37.03포인트(0.65%) 내린 20,916.55에 장을 마쳤다.
미국 공급관리협회(ISM)는 7월 서비스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50.1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6월의 50.8에서 0.7포인트 하락한 수치로, 시장 예상치 51.5를 밑돌았다. 특히 가격 지수가 전월 대비 상승하며 서비스 투입비용 전반에 강한 가격 상승 압력이 나타났다.
서비스업은 미국 경제의 약 70%를 차지하는 핵심 축이다. 제조업이 이미 위축 국면에 진입했지만, 그동안 증시가 강세를 유지했던 이유는 서비스업이 호조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하락세는 서비스업마저 위축될 가능성을 시사하며 증시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트럼프 대통령이 반도체와 의약품에 대한 관세를 발표할 것이라는 소식 또한 투자자들의 위험 회피 심리를 자극했다. 업종별로는 유틸리티가 1% 이상 하락했으며, 대형 기술기업 중 아마존을 제외한 모든 종목이 하락했다.
한편, 인공지능(AI) 방산업체 팔란티어는 2분기 호실적으로 7% 이상 주가가 상승했다. 반면, AMD는 예상에 못 미친 실적 발표로 주가가 시간 외 거래에서 4% 이상 떨어졌다. 스냅은 2분기 EPS 손실 발표 후 주가가 15% 이상 급락했다.
금리 인하 기대감도 약화됐다. 시카고상품거래소의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까지 기준금리가 75bp 인하될 확률을 45.8%로 반영했다. 이는 전날 53.1%에서 낮아진 수치다. 시카고옵션거래소 변동성 지수(VIX)는 0.33포인트(1.88%) 오른 17.85를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