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진민석 기자 |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 이사회가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에게 290억달러(약 40조 원) 상당의 주식 보상을 승인했다.
이번 조치는 2018년 머스크의 경영 성과에 따라 지급하기로 한 500억 달러 규모의 스톡옵션 보상안에 대해 델라웨어주 법원이 제동을 걸면서 이에 대응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된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Reuters)에 따르면, 테슬라는 9600만주 신규 주식 부여를 ‘임시 보상’이라고 밝히면서 델라웨어주 법원이 무효화한 머스크의 2018년 보상 패키지를 존중하기 위한 ‘선의의 지급’(good faith)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이사회의 조치에 따라 머스크는 향후 2년간 CEO 직위를 유지하고, 현재 항소 중인 2018년 보상 패키지가 법원에서 복원되지 않을 경우, 새로운 보상을 청구할 수 있게 된다. 이번에 부여된 주식은 5년간 보유해야 하며, 2018년 패키지와 동일한 주당 23.34달러에 매입할 수 있다. 현재 뉴욕 증시에서 테슬라 주가는 300달러를 조금 웃돈다.
테슬라는 오는 11월 6일 연례 주주총회에서 장기 CEO 보상 계획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테슬라 특별위원회는 이날 규제 당국에 제출한 서류를 통해 새로운 보상안이 머스크의 의결권을 점진적으로 강화하기 위해 설계됐으며, 머스크와 주주들이 테슬라의 사명에 집중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조처로써 강조해온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통신도 이번 조치에 대해 “머스크가 테슬라의 사이버 택시·로봇 기업 전환에 집중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최근 CEO의 정치적 활동으로 인해 “이사회가 머스크에 대한 인내심을 잃고 있다(wearing thin)는 추측을 진정시키려는 의도”도 있다고 짚었다.
머스크는 한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대선 승리에 기여하며 정부효율부(DOGE) 수장을 맡았으나 이후 감세 정책 등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충돌한 뒤 결별했다.
이날 로이터통신은 새로운 보상 계획이 실현되면 머스크의 테슬라 지분율은 현재 12.7%에서 15%를 넘어설 것으로 추산했다.
한편, 테슬라의 보상 문제는 여전히 법적 공방이 진행 중이다. 2018년 머스크에게 지급된 초대형 스톡옵션 패키지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번 신규 보상안도 법원의 판단과 연계돼 있다.
앞서 미 델라웨어주 법원의 캐서린 매코믹 판사는 지난해 12월 머스크의 2018년 스톡옵션 패키지를 과하다고 판단하며 1심 판결을 유지했고, 머스크는 항소했다.
맥코믹 판사는 테슬라 이사회가 사실상 머스크의 통제하에 있었던 만큼 “보상 설계·지급 과정에 심각한 결함(material flaws)이 있었다”고 지적했다.
테슬라 이사회는 이번 보상안에 대해 “만약 머스크가 상고심에서 승리하면 이중 혜택(double-dipping)을 방지하기 위해 이번 보상은 지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