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이기봉 기자 | 국민권익위원회가 오는 11월까지 2025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한다.
김지영 권익위 청렴조사평가과장은 5일 브리핑을 통해 “올해는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시도교육청, 공직유관단체, 국공립대학 등 721개 기관 총 17개 유형을 대상으로 평가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익위는 지난 2022년부터 공공부문 청렴 수준과 부패 취약 분야를 진단하고 기관의 자율적인 반부패 노력을 촉진하기 위해 종합청렴도 평가를 실시해오고 있다.
종합청렴도 평가는 청렴체감도, 청렴노력도, 부패사건 발생 실태 감점 등의 세 영역으로 나뉜다.
청렴체감도와 청렴노력도는 100점 만점으로 평가한 뒤 6:4 비율로 가중 합산하고 부패 공직자 발생 기관에 대해서는 10점 범위 내에서 감점해 종합청렴도 결과를 산출한다.
이중 청렴체감도는 기관의 주요 업무에 대한 부패 인식과 경험을 설문조사 형태로 측정하며, 각 기관의 대표적이고 부패 개연성 있는 업무를 경험한 국민과 해당 기관의 공직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설문은 각각 9개 문항으로 해당 업무에 대한 응답자의 부패 인식 7문항, 부패 경험 2문항으로 구성됐다.
부패 인식은 투명한 업무 처리, 기준 또는 절차를 위반한 업무처리, 소극적인 업무 행태, 특혜 제공, 부정 청탁, 갑질 행위, 사익 추구에 대한 내용이, 부패 경험은 업무 처리 과정에서 ‘금품이나 식사·향응 등’을 제공했거나 요구받은 경험이 있는지, 경험이 있다면 횟수는 어떻게 되는지 등이 담겼다.
이번 설문조사는 이달부터 11월까지 약 3개월 간 진행되며, 권익위는 설문조사 결과가 반영된 점수를 바탕으로 기관 유형별로 1등급부터 5등급까지 산출해 12월에 발표할 예정이다.
김 과장은 “응답한 내용은 관련 법령에 따라 철저하게 비밀 보장되고 있으니 안심하시고 응답해 주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종합청렴도 평가를 통해 각 기관들이 자율적이고 효율적인 반부패·청렴 활동을 추진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