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AI 확산, 상위업종 청년층 고용 위축 유발”

한은 “AI 확산, 상위업종 청년층 고용 위축 유발”

사진 = 뉴시스

 

인공지능(AI) 확산이 AI 노출도 상위 업종의 청년층의 고용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50대의 경우 오히려 AI 노출도가 높은 업종에서 고용이 증가했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한국은행은 30일 ‘AI 확산과 청년고용 위축’ 보고서에서 AI 확산이 청년층(15~29세) 일자리에 미친 영향을 국민연금 가입자수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한진수 한은 조사역은 “국내 노동시장에서도 미국과 유사하게 AI 도입 초기 주니어 고용은 줄고 시니어 고용은 늘어나는 연공편향 기술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설명했다.

한은에 따르면 지난 2022년 7월부터 3년간 연령대별 고용 증감을 수량적으로 보면, 청년층 일자리가 21만1000개 감소했다. 이 가운데 20만8000개가 AI 노출도 상위(3~4분위) 업종에서 감소해 기여율 98.6%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50대 일자리는 20만9000개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14만6000개가 AI 고 노출 업종으로 나타나 기여율 69.9%를 보였다.

세부 업종별로는 챗GPT 출시 이후 컴퓨터 프로그래밍·시스템 통합 및 관리업, 출판업, 전문 서비스업, 정보 서비스업의 청년고용이 각각 11.2%, 20.4%, 8.8%, 23.8% 감소했다.

또 AI 노출도가 높더라도 보완도가 높으면 자동화에 의해 대체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청년고용이 덜 감소했다.

AI 확산의 임금 효과는 아직 뚜렷하지 않았다. 연령대별 실질임금(지역별고용조사 활용) 추이를 직종별 AI 노출도 수준에 따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단기적으로는 임금을 조정하기가 쉽지 않은 임금 경직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의 노동시장 조정은 임금보다 고용 측면에서 먼저 이뤄지고 있다는 점도 반영됐다.

한은은 AI 확산 이후 청년고용이 감소한 이유에 대해 업무의 성격을 꼽았다.

주니어는 AI로 대체하기 쉬운 정형화되고 교과서적인 지식 업무를 맞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저연차일수록 AI 활용 업무시간 감소율이 높아 대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시니어는 업무 맥락 이해, 대인관계, 조직관리 등 AI가 현재로서 대체하기 어려운 암묵적 지식과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 업무를 주로 담당하고 있다.

한은은 AI 확산 초기에 나타난 청년고용 위축이 이어질지는 불확실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업의 인재 육성 뿐만 아니라 청년층의 경력개발 경로, 소득불평등 등에 미칠 중장기적 영향이 큰 만큼 향후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는 설명이다.

한 조사역은 “AI가 보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는 등 청년층이 AI 확산기에 새로운 산업 기회를 모색할 수 있도록 돕는 다양한 정책 대응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