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린 주 100시간 일 해” 런베뮤 논란에 의사들 ‘발끈’

“우린 주 100시간 일 해” 런베뮤 논란에 의사들 ‘발끈’

[이데일리 홍수현 기자] 유명 베이커리 브랜드 ‘런던베이글뮤지엄’(런베뮤) 직원의 과로사 의혹이 제기되며 여론이 들끓는 가운데 일부 의사들이 “우리도 주 100시간씩 일한다”는 불만을 내비치며 선택적 공감을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기사와 무관한 이미지.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오가고 있다. (사진=뉴스1)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온라인을 중심으로 런베뮤 사건과 비견해 본인들의 처지를 한탄하는 의사들의 글이 공유되고 있다.

한 게시글에서 의사로 추정되는 A씨는 “주 80시간 과로사가 이렇게 이슈될 일인가? 물론 돌아가신 분이야 안타깝고, 산재 받았으면 좋겠다. 하지만 주 100시간씩 일하면서 ‘처단한다’는 협박을 듣고 있는 직종도 있다”고 한탄했다.

그러면서 “자영업자들도 물론 (근무 시간이) 주 80시간을 넘을 거다. 거기에 사람마다 역치가 다르다고 주장하는 건 오버라고 생각한다”라면서 “선택적 공감이 역겹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글에 의사로 추정되는 누리꾼들이 다양한 의견을 내놨다.

한 누리꾼은 “법적으로 당당히 주 52시간 이상 굴려도 되는 직업은 의사(전공의)다. 심하면 주 130시간도 일했는데 그 상한을 주 80시간으로 정해둔 게 불과 몇 년 전이지만, 일선 현장에선 지키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공감했다.

또 다른 누리꾼은 “주 80시간 근무가 살인적인 것도 맞고 이슈될 일도 맞다. 근데 왜 베이커리에서 일한 사람의 근무 조건은 이슈화되는데, 주 80시간 넘게 일하는 전공의들에게는 당연한 거냐? 그리고 그걸 문제 삼으면 왜 어김없이 사명감 타령을 하는 거냐”고 분노했다.

런베뮤 직원 과로사 의혹에 한 의사로 추정되는 누리꾼이 보인 반응이다. (사진=사회관계망서비스)

특히 지난 2019년 2월에 주 105시간 일하고 당직실에서 숨진 뒤 산업재해로 인정받은 소아과 전공의 사건이 회자되며 불만이 더욱 쌓였다.

이밖에 “젊은 의사들은 다 주 80시간 이상 일한다”, “그 누가 전공의 근무 시간에 관심이라도 줬는지”, “과로를 직접적인 사망 원인이라고 하려면 대한민국 전공의는 다 죽었어야 한다” 등 댓글이 이어졌다.

전국전공의노동조합에 따르면 지난달 11~26일 전국 100개 수련병원 전공의 1013명을 대상으로 근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53.1%가 주 72시간 이상 근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전공의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률(전공의법)에는 전공의 수련 시간 상한이 주 80시간으로 명시돼 있다. 그러나 이를 초과해 근무하는 전공의도 27.8%에 달했다. 이중에선 주 104시간 이상 근무한다는 전공의도 3.3% 있었다.

그러나 의사들의 하소연에 대중의 반응은 싸늘했다. 누리꾼들은 “사람 늘려준다니까 게거품 물면서 싫다는데 어쩌라는 거냐”는 의견을 필두로 “남의 죽음을 비교 대상으로 삼냐”, “젊은 사람이 일하다 죽었는데 그걸 경쟁처럼 말하냐”라고 지적이 잇따랐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