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코리아=김시온 기자 | 산불 진화에 투입되는 헬기를 둘러싼 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산림청이 1220억원을 들여 도입한 헬기가 조종사 자격 미비로 야간에 한번도 투입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은 최근 조달청에서 받은 자료를 인용해 “현재 산불 진화에 투입 중인 헬기 88대 가운데 67%인 59대가 30년 이상 된 기종”이라고 밝혔다.
세부적으로는 40년 이상 된 기체가 28대, 50년 이상 9대, 60년 이상도 3대에 달했다.
박 의원은 “2021년 이후 산불 진화 헬기 관련 사고가 5건 발생해 9명이 숨지고 1명이 다쳤는데, 상당수가 노후 기종이었다”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노후화의 근본 원인으로 조달 구조의 문제를 꼽았다.
현재 조달청은 나라장터를 통해 산불 진화 헬기를 임차하며 다수공급자계약(MAS) 제도를 거쳐 업체를 선정하고 있다. 이에 업체가 헬기를 제시하면 조달청이 가격자료를 수집해 협상 기준가를 정하고, 그 이하 금액에서 낙찰하는 구조다.
박 의원은 “이 과정에서 업체들이 가격 경쟁에 밀리지 않기 위해 노후·저가 헬기를 내놓을 수밖에 없는 구조가 고착됐다”고 비판했다.
이어 “조달청은 헬기 단가를 산정할 때 감항 검사 등 안전성 평가 요소를 반영해, 기체 연식에 따라 차등 가격을 적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거금을 들여 야간 산불 진화가 가능한 헬기를 구비하고도 조종사의 자격 요건 미달로 현장 투입이 이뤄지지 않은 것에 대한 비판도 제기됐다.
한편, 1220억 원을 들인 야간 산불 진화 헬기 S-64의 운용 실효성도 도마에 올랐다.
정희용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산림청은 2018년부터 미국 에릭슨사의 대형 산불 진화 헬기 S-64를 도입했으나 조종사 자격 미비로 지금까지 야간 진화에는 투입되지 못했다.
이에 대해 산림청은 “올해 7월부터 11월까지 야간 산불 진화 임무를 위한 조종사를 양성해 내년 2월부터 S-64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 의원은 “대형 산불은 주야를 가리지 않고 확산되기 때문에 야간 헬기 투입이 핵심적”이라며 “산림청은 내년 봄철부터 S-64가 실제 야간 진화에 가동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