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표현하고 ‘의미’를 찾는 여행의 시대 열린다… 트립닷컴-구글, 2026년 글로벌 여행 트렌드 전격 해부

‘나’를 표현하고 ‘의미’를 찾는 여행의 시대 열린다… 트립닷컴-구글, 2026년 글로벌 여행 트렌드 전격 해부

‘나’를 표현하고 ‘의미’를 찾는 여행의 시대 열린다… 트립닷컴-구글, 2026년 글로벌 여행 트렌드 전격 해부

원스톱 글로벌 여행 플랫폼 트립닷컴 그룹이 구글과 손잡고 급변하는 글로벌 여행 트렌드를 분석한 소비자 인사이트 리포트 ‘왜 여행하는가(Why Travel?)’를 30일 발표했다. 양사의 방대한 데이터와 소비자 인식을 통합 분석한 이 보고서는 2026년 여행 산업의 방향을 가늠할 다섯 가지 핵심 키워드를 제시해 업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리포트는 전 세계 여행자들이 단순히 ‘어디를 갈지’보다 ‘왜 여행을 하는지’에 집중하며, 문화와 공동체, 기술을 통해 더욱 깊은 의미와 연결을 추구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고 진단했다.

트립닷컴 그룹이 제시한 미래 여행 산업의 핵심 키워드는 ▲자기 표현으로서의 여행 ▲목적이 있는 여행 ▲치유를 위한 여행 ▲연결을 위한 여행 ▲내일의 여행 등 다섯 가지다.

첫 번째 키워드인 ‘자기 표현으로서의 여행’은 여행이 개인의 취향과 정체성을 표출하는 강력한 수단이 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미식 여행(Food travel)에 대한 관심 증가는 대표적인 사례다. 2025년 상반기 글로벌 구글 트렌드에서 미식여행 관련 검색량은 전년 대비 18% 늘었고, 트립닷컴의 음식 관련 예약 역시 43% 증가했다. 특히 홍콩, 싱가포르, 한국, 일본 지역에서 ‘미식가 여행객’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서는 외국인 여행객들의 ‘광장시장’ 검색률이 전년 대비 40% 이상 치솟아 눈길을 끈다.

패션 여행 역시 주목할 만하다. 파리, 밀라노 외에도 스톡홀름, 쿠알라룸푸르, 두바이 등이 새로운 패션 명소로 떠올랐으며, 특히 유럽 여행객 사이에서 서울(전년 동기 대비 319% 성장)과 상하이(864% 성장)가 급부상했다.

두 번째 ‘목적이 있는 여행’은 문화적 깊이와 지역 정체성을 탐색하는 흐름을 포착한다. ‘일본 다도’ 검색량이 전년 대비 53% 증가한 것처럼, 전통 의식과 문화 체험 자체가 주요 여행 동기가 되는 현상이다. 아울러 유명 관광지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사색과 성찰을 즐기는 경향도 늘어, 하이킹으로 유명한 캐나다 밴프, 베트남 사파 등의 예약량은 2025년 상반기 전년 대비 100% 넘게 증가했다.

‘치유를 위한 여행’은 신체적 도전과 휴식을 결합한 웰니스형 액티브 여행의 진화를 보여준다. ‘골프 & 스파 리조트’ 검색량이 전년 대비 300%, ‘스키 & 스파 패키지’는 250% 증가하며, 능동적인 건강 관리가 여행의 중요한 목적이 되고 있다.

네 번째 ‘연결을 위한 여행’에서는 관계 중심의 가치 이동이 두드러졌다. 응답자의 66%가 해외 콘서트를 위해 여행할 의향이 있다고 답하는 등 친구, 가족, 팬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공유 경험이 중요해졌다. 특히 러너, 사이클리스트, 하이록스 참가자 등 경기 기반 여행 수요는 전년 대비 5배 이상 폭발적으로 늘었다.

마지막으로 ‘내일의 여행’은 인공지능(AI)이 여행 계획의 핵심 도구로 자리매김했음을 확인시켰다. “여행 계획 도와줘(help planning my trip)”와 같은 검색량이 전년 대비 190% 증가하며, AI를 활용한 맞춤형 여행 설계 수요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립닷컴 그룹의 한펑 부사장은 “2026년의 여행은 단순한 이동을 넘어 ‘의미를 찾는 여정’이 될 것”이라며, 여행자들이 피트니스 이벤트 참가, 로컬 미식 탐색, 소셜 영향력에 따른 여행 결정 등 행동 양식이 급변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구글 LCS 스페셜리스트팀의 조이스 장 매니징 디렉터 역시 “여행자들은 더 깊은 목적과 풍부한 연결, 그리고 기술로 확장된 경험을 원한다”고 밝혔다.

트립닷컴 그룹은 이러한 변화에 맞춰 콘서트와 스포츠 연계 여행 상품을 강화하고, AI 기반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도화하고 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