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곳곳에서 곰의 습격으로 인한 인명피해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아사히신문 등 일본 언론은 올해 4월부터 이달 22일까지 곰의 습격으로 죽거나 다친 172명 중 66%인 114명이 산림 권역이 아닌 주민 생활권에서 피해를 본 것으로 집계됐다고 26일 보도했다.
특히 숲을 찾았다가 곰의 공격을 받은 사상자가 다수였던 4~6월과 달리 7월부터는 주민 생활권 사상자가 전체의 80%에 달했다.
올해 곰에 의한 사망자는 10명으로, 종전 최다였던 2023년 6명을 뛰어넘었다.
피해가 빈발하고 있는 아키타현의 경우 10월에만 25명이 자신이 살고 있는 거주지 인근에서 공격당했다.
지난 20일 아키타현 유자와지 중심가에 나타난 곰이 남성 4명을 공격한 후 민가에 들어가 120시간이 지난 25일 새벽에야 상자형 덫에 포획되기도 했다.
생활권 내 곰 피해가 증가하자 일본 정부는 조수보호관리법을 개정, 9월부터 시가지에서도 곰 포획에 엽총 사용을 허가하는 등 대책을 강화했지만 충분치 않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곰에 의한 인명피해가 증가한 이유로 곰의 먹이인 도토리 등 나무 열매가 흉작을 맞은 점을 꼽는다.
이 외에도 곰 개체수 증가 등 근본적인 요인도 거론되고 있다.
곰 생태 전문가인 고이케 신스케 도쿄농공대 교수는 “40년에 걸쳐 곰 서식지가 확대, 개체수도 늘어난 결과”라며 “금방 끝날 상황이 아니다”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