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美고용축소 절반은 이민감소 탓…급격한 고용침체 없을듯”

“올해 美고용축소 절반은 이민감소 탓…급격한 고용침체 없을듯”

한은 “미국 노동시장 전반적 수급 상황 아직 양호”

미 LA에서 불법이민 단속에 항의하는 시위대와 이를 막아선 주방위군

(로스앤젤레스=연합뉴스) 임미나 특파원 = 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LA) 도심의 연방 구금시설인 ‘메트로폴리탄 디텐션 센터'(Metropolitan Detention Center) 앞에서 주방위군이 시위대와 대치하고 있다. 시위대는 미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대대적인 불법 이민자 단속에 반발하는 시위를 사흘째 벌이고 있다. 2025.6.9 mina@yna.co.kr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최근 미국에서 위축된 고용의 약 절반은 제한 정책 등에 따른 이민 감소 때문으로, 미국 고용시장이 심각하게 침체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진단이 나왔다.

한국은행 미국유럽경제팀이 24일 발표한 ‘미국 고용지표 둔화 요인과 현 노동시장 상황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의 비농업 취업자 수 증가 규모(전월 대비)는 2024년 월평균 16만8천명에서 올해 1분기 11만1천명으로, 5∼8월 중 2만7천명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이런 고용 지표 악화를 놓고 기업의 노동 수요 자체가 줄었기 때문이라는 ‘수요 둔화론’과 이민 감소 등 노동 공급 제약이 원인이라는 분석이 엇갈리고 있다. 근본적 수요 부족 문제로 보는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국 노동시장 상황이 빠르게 더 나빠질 것으로 예상하는 반면, ‘공급 제약론’자들은 견조한 내수 성장세로 미뤄 노동시장 자체에는 아직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미국 취업자수 증가세 둔화 등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한은이 분석한 결과, 올해 미국 전체 고용 감소의 45%가 이민 감소에 따른 노동 공급 축소에 따른 것으로 추정됐다. 이민 위축은 추세적 감소에 이민 제한 정책이 더해진 결과다.

한은은 보고서에서 “분석 결과는 최근 고용 둔화에 이민 감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는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의장의 평가에도 부합한다”며 “전반적 노동시장 수급 상황은 아직 양호하고, 급격한 고용침체 발생 가능성도 작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트럼프 1기 이민 억제 기조 아래 월평균 순이민이 5만∼6만명 수준(2017∼2019년·코로나 기간 제외)에서 유지된 사실을 감안하면, 순이민이 6만명대로 떨어진 현재 상황에서 이민 노동력의 추가적 급감 가능성은 작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미국 고용 둔화 요인 분석 등

[한국은행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hk999@yna.co.kr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