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오후에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국립암센터, 대한적십자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국립중앙의료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한의약진흥원,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공공조직은행,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대한결핵협회, 전국지방의료원엽합회 등 기관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이어갔다.
박주민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은 김철수 대한적십자사회장의 베트남 출장과 관련한 의혹을 제기했다.
박주민 위원장은 “2025년 2월 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양지병원 메디컬센터 헬스케어 폴리클리닉’ 개소식에 김철수 회장이 참석했지만 대한적십자사 공식 출장기록에는 베트남 방문 내역이 없다”며 “공식기록 없이 사기업 개소식에 참석한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또 박주민 위원장은 “김철수 회장의 아들로 알려진 김상일 씨가 2024년 7월 한 인터뷰에서 ‘양지병원 베트남 사업이 한-베트남 정상회담의 협력의제로 채택됐다’고 언급했지만 실제로는 공식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정상회담 협력사안을 왜곡한 것 아니냐”고 문제를 제기했다.
이에 김철수 회장은 “관련 자료를 제출하겠다”고 답했다.
전진숙 의원(더불어민주당)은 대한적십자사의 헌혈 강제 관행을 지적했다.
전진숙 의원은 “헌혈을 해야만 승진하거나 휴가를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직원의 건강과 권리를 무시하는 처사”라며 “헌혈 강요 관행은 명백한 인권침해로 즉시 폐지하고 관련 규정을 개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보윤 의원(국민의힘)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추진한 ‘스마트병원 선도모델 개발사업’의 운영 실태를 질의했다.
최보윤 의원은 “사업종료 후 스마트병원 기술, 특히 로봇분야를 체계적으로 실증하기 어려워졌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서비스 로봇이 도입되면 단순 반복 업무를 대신 수행해 의료진은 진료에 집중할 수 있고 환자도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림대성심병원 조사결과, 환자의 94%가 로봇 도입이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고 의료진 역시 93~100%가 ‘지속 사용을 희망한다’고 답했다.
최보윤 의원은 “의료진과 기업이 초기단계부터 협력해 병원환경에 맞는 로봇을 개발하고 실증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며 “도입과정에서 얻은 성과와 실패사례를 체계적으로 수집·공유할 수 있는 플랫폼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지아 의원(국민의힘)은 R&D 사업이 ‘알음알음 하는 사업’이 되지 않도록 세심하게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지아 의원은 “한국형 ARPA-H의 첫 번째 목적은 혁신형 R&D 모델을 정착시키는 것이지만 현재 운영방식은 취지와 전혀 맞지 않다”며 “과제 선정과정 역시 다시 한 번 철저히 점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처음부터 PM(프로젝트매니저) 시스템과 과제 선정 전반을 재검토해 그 결과를 보고해달라“고 말했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ARPA-H는 기존의 요소·기술 개발 중심 R&D와 달리 성과 중심의 도전적 임무형 과제를 추진하기 위해 미국의 DARPA 모델을 벤치마킹했다”며 “단 미국의 DARPA는 오랜 경험과 노하우가 축적된 반면 우리나라는 지난해부터 PM을 선발하고 과제를 선정하기 시작했기 때문에 당장 큰 성과를 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또 그는 “PM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성과 중심의 체계를 확립할 수 있도록 모든 절차를 재검토한 후 보고드리겠다”고 덧붙였다.
이수진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요즘 청소년들은 SNS와 메신저 플랫폼의 확산으로 문자상담을 선호하고 챗GPT 같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하기도 한다”며 “자살예방 상담인력을 확충해 전화뿐 아니라 문자상담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자살예방 상담인력이 불친절하거나 상담의 질이 낮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며 “상담인력의 정신건강을 위한 내부 상담체계가 없고 관련 예산도 편성돼 있지 않은 만큼 이 부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24일 국민연금공단을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이어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