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의 흐름 위에서 만나는 전통춤”…서울시무용단 ‘미메시스’

“자연의 흐름 위에서 만나는 전통춤”…서울시무용단 ‘미메시스’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기존의 특정 명인 계보나 춤 스타일을 답습하는 방식이 아니라, ‘춤의 본질’에 집중해 2025년 새로운 버전의 전통춤을 만들어보고자 했습니다.”

서울시무용단이 전통춤의 법칙을 과감하게 비트는 8가지 무대를 선보인다. 오는 11월 6일부터 9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 무대에 오르는 신작 ‘미메시스: 자연을 담은 8개의 춤’에서다.

20일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연습실 공개에서 윤혜정 서울시무용단장은 “과거 왕부터 기생까지 다양한 직업군과 신분이 우리의 전통 안에 존재해왔다”며 “그 본질적인 움직임을 자연의 현상과 연결해, 모두가 자연의 일부라는 메시지를 담고자 했다”고 기획의도를 밝혔다.

서울시무용단의 ‘미메시스: 자연을 담은 8개의 춤’ 시연 모습(사진=세종문화회관).

이날 무용수들은 교방춤의 기생, 한량춤의 선비, 소고춤의 농부, 장검춤의 무관 등 각기 다른 신분으로 분해 새로운 전통춤을 선보였다. 마지막에는 왕과 왕비의 춤인 태평무까지 등장했다. 윤 단장은 “서로 겹치지 않는 직업군과 신분, 계급, 종목들을 레퍼토리로 선정했다”며 “각 춤이 어떤 이미지와 본질을 담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했다”고 강조했다.

‘미메시스(Mimesis)’는 고대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의 미학 개념인 ‘예술의 본질을 재현하는 행위’를 뜻한다. 서울시무용단은 이번 작품에서 전통춤 8가지를 선택해 ‘몸의 근원적 움직임’에 집중하며 새로운 해석을 시도했다. 작품은 △물의 흐름(교방무) △바람의 유영(한량무) △땅의 울림(소고춤) △번개의 에너지(장검무) △허공의 비움(살풀이춤) △상승하는 기운(승무) △불의 즉흥성(무당춤) △빛의 울림(태평무) 등 자연을 은유한 8개의 장으로 구성된다.

전통 장단과 기계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 회차 라이브 국악 연주가 진행된다. 유인상 음악감독은 ““무당춤은 지역별 무당들이 가진 음악적 특징을 각각 추출해 다섯 개 장면으로 구성했다”며 “장검무는 기존에 알려진 형식을 바탕으로 다른 음악 요소를 차입해 새롭게 편곡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무용단의 ‘미메시스: 자연을 담은 8개의 춤’ 시연 모습. 스타무용수 기무간이 객원 무용수로 출연한다(사진=세종문화회관).

출연진 전체를 A팀과 B팀으로 나눠 완전히 다른 해석을 보여준다. Mnet ‘스테이지 파이터’에서 주목받은 무용수 기무간이 객원으로 참여하며 모든 회차에 출연한다. 기무간은 “한국무용을 전공하고 활동해왔지만 다양한 움직임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전통춤과는 점점 멀어졌었다”며 “이번 작품을 통해 감각을 다시 회복하고 싶었고, 이제는 흐름에 적응하며 멋지게 완성해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무용단은 올해 상반기 신작 ‘스피드’와 레퍼토리 ‘일무’를 서울·강릉·대구에서 공연하며 전 회차 매진을 기록한 바 있다. ‘미메시스’ 역시 일부 좌석 등급이 이미 매진되는 등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오정윤 서울시무용단 부수석단원은 “이번 작품에서는 살아 있는 춤을 만들어가는 과정에 집중하고 있다”며 “스승들이 쌓아온 결 속에서 현재를 살아가는 무용수들의 움직임으로 완성된 ‘미메시스’를 만나보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서울시무용단의 ‘미메시스: 자연을 담은 8개의 춤’ 시연 모습(사진=세종문화회관).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