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징역 2년 선고..’ 우리나라 대리점 직원, 고장 수리 맡긴 90대 노인 휴대폰으로 저지른 ‘충격 만행’

‘결국 징역 2년 선고..’ 우리나라 대리점 직원, 고장 수리 맡긴 90대 노인 휴대폰으로 저지른 ‘충격 만행’

ⓒ게티이미지뱅크(휴대폰 대리점)

실형을 선고 받은 30대 대리점 직원이 있다.

16일, 법조계의 발표에 따르면, 수원지법 안양지원 형사4단독은 사기, 사전자기록등위작,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구속 기소된 30대 대리점 직원 A씨에게 징역 2년을 선고했다.

대리점에 휴대폰 수리 맡길 때 주의해야 하는 이유

ⓒ게티이미지뱅크(휴대폰 대리점)

앞서 지난해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경기도 군포시의 한 휴대전화 대리점에서 판매직원으로 근무하던 A씨는 손님 B씨의 휴대전화에 설치된 은행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B씨의 돈을 본인 계좌로 무단 이체하고, B씨 명의로 카드 대출을 받았다. 그는 총 2억 원가량을 편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휴대전화 고장 수리를 위해 신분증과 신용카드가 들어있는 휴대전화를 A씨에게 맡겼고, 이를 A씨가 악용한 것으로 파악됐다.

ⓒ게티이미지뱅크(휴대폰)

A씨는 범행을 들키지 않기 위해 자신의 거주지로 대출 관련 우편물을 받았으며, B씨에게 안부 전화를 하거나 자택을 방문해, 피해자가 자신의 범행을 알고 있는지도 확인했다. 범행 근액은 해외여행과 사치품 구매 등에 사용됐다.

A씨의 범행은 B씨의 자녀가 통장을 확인하던 중, 잔액이 없는 것을 발견하며 밝혀졌다.

재판부는 “피해 회복을 위해 별다른 노력을 하지 않았고 피해자로부터 용서받지 못했다”라고 전했다. 다만, “피고인이 잘못을 인정하며 반성하는 태도를 보이는 점, 벌금형을 초과하는 범죄전력이 없는 점을 고려했다”라고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게티이미지뱅크(휴대폰 대리점)

대리점 직원의 만행 사례

한편, 대리점 직원은 특정 기업(통신사, 브랜드)과 계약하여 해당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고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일을 한다. 이들은 보통 한 가지 통신사나 브랜드에 전념하며, 본사 직영점과 달리 개인이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최근에는 대리점 직원이 고객의 개인정보를 악용해 금전을 편취하거나, 휴대폰을 개통하여 피해를 주는 사례가 보도되기도 했다. 피해가 발생했을 때는 계약서, 해당 직원 정보 등의 증거 자료를 가지고 통신사 고객센터에 민원을 제기해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휴대폰)

피해 규모가 크거나 심각한 경우에는 경찰에 고소장을 접수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