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기업회생 사태와 롯데카드 해킹 사고로 각종 논란에 휩싸인 MBK파트너스 김병주 회장이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여야 의원들의 질타를 받았다. 김 회장은 “국민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하다”고 고개를 숙였지만 대부분의 질의에 “관여하지 않는다” “잘 모르는 사안”이라며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16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유영하 의원은 지난 14일 국감에서 MBK를 “약탈적 헤지펀드”로 규정하며 홈플러스 사태의 본질이 사모펀드가 계열사 카드사와 합작해 부채를 외주화한 데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MBK가 LBO(차입 인수) 방식으로 홈플러스를 인수한 뒤 매출이 감소하고 이자 부담이 커지자 자산을 팔아 이자를 메우고 투자금을 갚았다”며 “이후 유동성이 악화되자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 약정을 통해 신용공여를 확대하고 자산유동화 전단채를 발행해 초단기자금을 조달했다”고 말했다.
이어 “홈플러스가 기업회생을 신청한 뒤 롯데카드가 받지 못한 금액만 793억원에 달한다”며 “딜라이브, 네파, 두산공작기계, 엠에이치앤코 등 MBK가 인수한 기업들이 모두 롯데카드 기업구매카드를 통해 신용공여를 확대했다”고 주장했다. 유 의원은 “대기업의 경우 계열사에 자금 지원을 하면 규제 대상이 되지만 사모펀드는 법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공정거래위원회와 금융감독원 등 관계 당국의 제도 개선을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유동수 의원은 홈플러스의 재무 상태 악화를 거론하며 “지금 상태로는 파산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그는 삼일회계법인이 작성한 조사보고서를 인용해 “홈플러스의 계속기업가치는 2조5천억원, 청산가치는 3조7천억원으로 청산가치가 1조원 이상 높다”며 “법원이 이를 근거로 청산 결정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어 “집을 팔 때도 살 수 있는 가격에 맞춰야 거래가 되듯, 인수희망자의 조건에 맞추기 위해 MBK는 어떤 노력을 했느냐”며 김 회장에게 추가 사재 출연 의향을 물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법인과 개인의 자금 여력이 부족하다”며 사실상 난색을 표했다.
유 의원은 MBK가 최근 언론에 배포한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도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사과문에는 인가 전 M&A 인수자의 자금 부담을 덜기 위해 최대 2천억원을 무상 증여하겠다고 돼 있지만, 인수자가 나타나지 않거나 홈플러스가 파산하면 증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김 회장은 “비상장 법인의 가치가 자산 총액에 포함돼 실제로 주식을 팔아 유동화하기 어렵다”며 증여 의지에 선을 그었다.
한편 김 회장은 “MBK의 재산 14조원은 개인 재산이 아니라 법인 가치”라며 “직접적인 유동화는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주요 현안에 대해 “내 소관이 아니다” “다른 파트너가 담당했다”는 답변을 반복하면서 여야 의원들의 거센 질타가 이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