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스경제=최천욱 기자 |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이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돈 은행 실적과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등이 엉키며 혼란스러운 모습 속에 15일(이하 현지시간)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가 혼조로 마감했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7.15포인트(0.04%) 내린 46,253.31에 거래를 끝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6.75포인트(0.40%) 오른 6,671.06에, 나스닥종합지수는 148.38포인트(0.66%) 상승한 22,670.08에 각각 장을 닫았다.
미국과 중국은 여전히 긴장 모드다. 14일부터 양국은 상대국 선박에 입항 수수료를 부과하기 시작했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산 식용유의 수입 중단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앞서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맞서 오는 11월 1일 또는 그 이전에 100% 추가 관세를 예고하기도 했다.
은행의 강력한 실적이 투자심리를 회복시켰다. 모건스탠리는 올해 3분기 주당순이익(EPS)과 매출이 모두 시장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고 매출은 역대 최대 수준이었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또한 EPS와 매출이 예상치를 상회한 결과 장 문을 열기 전부터 주가가 탄력을 받았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과 엔비디아가 참여하는 AI 인프라 투자 컨소시엄은 데이터센터 설계·운영사인 ‘얼라인드 데이터 센터’를 400억달러에 인수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이날 호재와 악재가 동시에 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주가지수도 급등락을 오갔다. 호세 토레스 수석 이코노미스트(인터랙티브브로커스)는 “투자자들은 추가 실적 보고서와 미국, 중국으로부터의 논평을 기다리면서 주가지수를 다시 사상 최고치로 올릴 준비가 되진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의 거대 기술기업은 혼조였다. 엔비디아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은 약보합이었다. 알파벳과 브로드컴, 오라클은 2% 안팎으로 올랐다. 은행 업종은 강세였다.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는 각각 4% 이상 올랐고 JP모건체이스는 2% 가까이 상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