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호중 “공무원 순직 인정 위해 최선 다할 것”
(서울=연합뉴스) 오진송 기자 =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14일 국가전산망 마비 상황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예능 프로그램을 촬영한 것에 대한 비판에 “(담당 공무원) 순직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좀 더 깊이 생각해 봤어야 했다”면서도 “인명사고였다면 대응이 달랐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 출석해 이재명 대통령과 부인 김혜경 여사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발생 사흘째인 지난달 28일 JTBC ‘냉장고를 부탁해’ 특집 방송 녹화에 참여한 것에 대한 국민의힘 박민수 의원의 지적에 이같이 말했다.
박 의원은 특히 국가전산망 장애를 담당하던 행안부 공무원이 이달 3일 세종청사에서 투신해 숨진 사건을 언급하며 “실무 서기관이 순직한 것이라고 본다. 국무위원으로서 (대통령에게) 예능 출연을 아예 안 하면 어떻겠냐고 건의할만하지 않았느냐”고 물었다.
이에 윤 장관은 “추석을 계기로 넷플릭스로 전 세계에 서비스가 될 예정이어서 방송사 측에서 (방영에 대한) 상당한 의지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태원 참사나 세월호 같이 대형 인명사고가 발생한 상황이었다면 (대통령의) 대응이 달랐을 것이다. (행안부) 직원 희생 전까지 상황에 대해 말씀드리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윤 장관은 또 다른 질의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숨진 행안부 공무원이 순직 인정을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이날 국감장에서는 국가전산망 마비 사태에 대한 이 대통령의 이중적 태도에 대한 지적도 나왔다.
국민의힘 고동진 의원은 “2023년 전산망 사고 때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는 책임자인 행안부 장관을 경질하라고 했다”며 “대전 화재 사고 책임은 누가 지는 것이 맞냐”고 물었다.
윤 장관은 “제가 행안부 장관으로 재임하고 있을 때 일이 벌어졌으니까 저의 책임도 없다고 할 수는 없다”며 “국민의 판단에 맡기겠다”고 답했다.
dind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