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은 15일 해수부 산하 공공기간 부산 이전과 관련해 “올해 안으로 국회에 보고하겠다”고 밝혔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전 장관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수부 국정감사에서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이 “산하(소속) 기관 이전은 언제 진행되는 것이냐”고 질의하자, “내부적으로 지금 검토가 한창 이뤄지고 있고, 올해 연말 안에 구체적인 이전 로드맵을 국회에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전 장관은 이어 “지배구조라든지 매각 문제 등과 관련해 시장 불확실성이 있어 불확실성을 제거해 준다는 차원에서 가능하면 해수부가 연내 부산 이전 이전하기 전에 HMM에 대한 지배구조 문제라든지 이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발표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조 의원이 “해수부 부산 이전 관련 최종 계획보고서가 나왔느냐”고 묻자, 전 장관은 “최종 계획보고서를 어디 제출해야 하는 법적 근거가 없다”며 “저희 내부적으로 (계획에) 차질 없이 이전할 수 있도록 진행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전 장관은 이날 국감에서 수산기업의 부산 이전 계획이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주철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현재 농해수의 해양수산법안 소위에 상정된 해수부산 이전 지원 관련 법률안들을 살펴보면 해수부 이전을 넘어서 해양운송 해양항만 관련 정부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해운 항만과 연관이 없는 수산 분야 공공기관과 민간기업까지 대거 부산 이전을 지원 촉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제출된 법안 내용대로라면 울산과 경남 지역을 제외한 서울 경기 세종 등 전국 모든 지역에 해양수산기관이나 민간 기업들이 부산으로 이전할 경우 우리나라 모든 해양수산기관이나 기업들은 부산으로 집중할 수밖에 없게 되고, 부울경 외에 다른 지역은 해양수산업 고사 현상을 피할 수가 없게 된다고 생각이 된다”고 질의했다.
이에 대해 전 장관은 “수산기업까지 부산으로 집적시키기 위한 계획은 애초에 없고 대선 기간 공약에 포함됐듯이 HMM을 비롯한 해운 대기업 유치에 한정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수광양항만 등 거점항만 육성 전략과 관련해 조만간 연구용역을 발주하고 있다”며 “결과를 보면 수산 분야 홀대, 새 산업경쟁력 가지는 데 대처를 하고 있지 않다든지 우려는 상당히 불식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전 장관은 “부산 이전은 좁게는 부산을 위한 일, 조금 더 넓게는 부울경, 더 넓게는 여수광양에서 포항까지 북극항로 경제 권역을 넓히는 것”이라며 “서울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하는 다극체제로 가는 마중물 역할을 하고, 단순히 특정 지역 부산만을 위한 이전은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