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먼트뉴스 이상백 기자]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큰 환절기에는 온도에 대한 우리 몸의 적응력이 떨어져 감기 등 바이러스에 노출되기 쉽다. 허리통증도 그 중 하나다.
연세광혜병원 이원창 대표원장은 “기온 변화가 크면 근육과 혈관이 수축하여 척추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고 근육이 경직되어 통증이 나타날 수 있다”며, “이때 척추질환이 악화되거나 사소한 충격에도 디스크가 파열되는 경우가 생긴다”고 맬했다.
그러나 허리통증을 일시적인 것으로 치부하여 치명적인 질환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생각을 하지 못할 수 있다. 만약 허리나 엉덩이 주변의 찌릿하거나 콕콕 쑤시는 통증, 다리로 뻗어나가는 통증(방사통), 다리가 저리거나 당기는 느낌 등이 나타난다면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허리 디스크나 척추관 협착증, 근골격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어서다. 때문에 증상이 심하거나 오래 지속되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증상이 가벼운 초기에는 물리치료 및 도수치료, 약물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상당부분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이 이미 악화되어 있는 경우라면 수술적 치료를 필요로 한다. 수술은 환자의 나이, 기저 질환, 질환의 진행 정도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진행된다. 최근에는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수면마취로 진행하여 시술 시간이 짧고 회복이 빠른 비수술치료이 인기다.
대표적인 것이 추간공확장술이다. 해당 시술은 특수 키트를 활용해 척추 뼈마디 사이의 추간공에 위치한 내·외측 인대를 정밀하게 절제해 신경을 누르는 좁아진 공간을 넓히고, 넓어진 공간을 통해 염증 유발 물질을 배출하는 방식이다. 마치 막힌 배수구(추간공)의 거름 철망(인대)을 일부 제거해 물이 원활히 흐르도록 하는 원리와 같다.
수술은 전신마취로 근육, 인대, 뼈 등을 불가피하게 큰 범위로 절개해 수술 시간과 회복 기간이 길다. 특히 고령자나 면역력 저하 환자 경우, 수술 후 감염 등 장기적인 합병증 위험도 크다. 반면 추간공확장술은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척추 유착성 질환 ▲척추 수술 후 통증 증후군 등 다양한 척추질환에 적용 가능하며, 조직 손상은 최소화하면서 신경근 감압과 혈류 개선 효과를 동시에 노릴 수 있다.
연세광혜병원 이원창 대표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척추질환 치료의 최후 수단으로 수술을 결정하기 전에 고려해 볼 수 있는 좋은 비수술 방안으로, 당뇨나 고혈압 같은 전신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에도 비교적 안전하게 치료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