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오염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받는 영풍 석포제련소의 폐쇄 논의가 급물살을 타고 있다. 국정감사장에서 김기호 영풍 대표이사가 “폐쇄 결론이 나면 그에 맞춰 조치하겠다”고 밝히면서다.
15일 비철금속업계에 따르면 전날 국회 기후에너지환경부 국정감사에서 국민의힘 김형동 의원이 “석포제련소 폐쇄로 결론이 나면 따르겠느냐”고 묻자, 김 대표는 “(경북도) TF에서 (폐쇄로) 결론이 나면 그에 맞춰 저희가 조치를 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TF) 결과에 맞춰 협의해 처리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영풍 측이 공개석상에서 ‘폐쇄 결정 수용’을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1970년 완공된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상류에 위치해 수질 오염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김형동 의원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영풍은 2014년 이후 11년간 환경 관련 법규를 100차례 이상 위반했으며, 2019년 폐수 유출로 제재를 받아 올해 2월 말부터 4월 말까지 58일간 조업을 중단했다.
특히 석포제련소 인근 토양의 카드뮴 농도는 폐쇄된 장항제련소 부근보다 약 44배 높다는 조사 결과가 공개되면서 충격을 더했다. 김 의원은 “인근 주민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강득구 의원은 “토양오염을 객관적으로 조사해 정화가 불가능하다는 결과가 나오면 환경부가 폐쇄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며 “1300만 낙동강 유역 주민의 건강이 걸린 문제”라고 강조했다. 이에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 장관은 “정부 차원의 대책을 최대한 빨리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민주당 김태선 의원은 “영풍이 밝힌 제련 잔재물은 31만 톤이지만 실제로는 그 두세 배에 이를 것”이라며 “이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고 있다. 지금 당장 문을 닫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영풍그룹 장형진 고문이 과거 피해 근로자에게 사과하겠다고 약속하고 이를 지키지 않은 점을 지적하며 “국회 차원의 고발까지 검토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석포제련소는 수차례 환경오염 논란에도 불구하고 지역 경제와 고용을 이유로 존속해왔지만, 대표이사가 정부 결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폐쇄 절차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한 환경단체 관계자는 “영풍의 태도 변화가 진정성 있는 후속 조치로 이어질지가 관건”이라며 “폐쇄 결정 시 신속한 토양 정화와 주민 건강 조사가 병행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