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 모델을 잘 만든다고 해서, 인프라만 잘 갖췄다고 해서 산업의 인공지능 전환(AX)이 저절로 이뤄지는 것은 아닙니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15일 산업 전반의 AX 확산을 위해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중소기업벤처부와의 업무 협약식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제조업 등 산업에 AI를 적용·활용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국가와 기업 경쟁력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현장의 AI 도입·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다.
배경훈 부총리는 “AI 3대 강국으로 가기 위해서는 범부처 차원에서 힘을 합해야 한다”며 “AX는 AI 모델만 잘 만든다고 작동하는 게 아니다. 산업 현장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성공 사례를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기정통부가 기반 인프라를 준비한다면, 산업부, 중기부에서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AX 가속화를 위해 노력해줘야 한다”며 “단일 부처에서만 할 수 있는 일이 아닌 만큼 원팀으로 힘을 모아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현장에 배석한 임문영 국가인공지능전략위원회 상근 부위원장은 “그간 부처간 기능별로 분절해 일하다 보니 간극이 심해지고 협력보다 베타적인 경우가 많았는데, AI로 바뀐 세상에서는 지금까지의 방식을 완전히 바꿔야 한다”며 “이제는 부처간 구분 없이 함께 일 할 수 밖에 없는 구조”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가진 기존 제조업 장점을 AI로 혁신하는 중요한 분기점에 와 있다”며 “산업 AX를 위한 세 부처의 업무협약이 변화 단초 만드는 계기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여기서 AX를 해내지 못하면 우리 산업이 나락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문제 의식이 크다”며 “정책 하는 부총리와 산업부, 중기부 장관 모두 기업에 있었던 만큼 기존 관료와 다른 입장에서 환상의 팀을 이뤄 대한민국 산업이 점프할 기회를 만들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중소기업이나 소상공인은 AX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왜 해야 하는지조차도 모르는 상황”이라며 “AX는 선택의 문제가 아닌, 하지 않으면 앞으로 나아갈 수 없는 것으로 각 부처가 맡고 있는 영역을 잘 연결하고 결합하면 강력한 성과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세 부처는 이번 협약을 계기로 ▲산업 전반의 AX 역량 강화 및 핵심기술 내재화 ▲AI 벤처·스타트업과 중소·소상공인의 AI 기술사업화 및 현장 맞춤형 AX 기술개발 지원 ▲지역 핵심 산업군 중심의 AX 생태계 조성 지원 ▲AI 관련 국정과제의 차질 없는 이행 지원 등을 함께한다.
이와 함께 AX 핵심 기반 기술 확보부터 산업 적용, 스타트업·중소기업 확산까지 이어지는 부처 간 통합적 협력 구조를 구축해 지역과 기업 규모에 관계 없이 AI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국가AI전략위원회는 제조TF를 구성해 세 부처의 AX를 지원함으로써 AI 기반 산업 대전환을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