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한 은행 3분기 ‘동반 호실적’…월가는 환호, 시중은행은 규제에 한숨

미·한 은행 3분기 ‘동반 호실적’…월가는 환호, 시중은행은 규제에 한숨

[사진=연합뉴스 제공]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 미국과 한국의 은행들이 3분기 나란히 호실적을 거뒀지만 표정은 엇갈렸다. 미국 주요 은행들이 시장 변동성 확대와 투자은행(IB) 수익 증가로 기대 이상의 실적을 내며 환호한 반면, 국내 시중은행들은 정부의 대출 규제 강화와 상생금융 압박 속에서 수익성 방어에 고심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최대 은행 JP모건체이스는 3분기 순이익이 143억9,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했다고 1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주당순이익(EPS)은 5.07달러로 시장 예상치(4.84달러)를 상회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CEO는 “미국 경제는 여전히 회복력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지정학적 리스크와 무역 불확실성, 고착화된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부담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골드만삭스는 3분기 순이익 41억달러로 전년보다 37% 늘었고, EPS는 12.25달러로 예상치를 웃돌았다.

시티그룹도 순이익 38억달러(전년 대비 15%↑)를 기록했다. 제인 프레이저 시티그룹 CEO는 “신규 상품과 인공지능(AI), 디지털 자산 부문 투자가 성과로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월가의 호실적은 시장 변동성과 거래량 증가가 주된 배경이다. 기업 인수·합병(M&A)과 기업공개(IPO), 레버리지 바이아웃(LBO) 거래가 활발해지며 IB 수수료 수익이 늘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복귀 이후 규제 완화 기조가 투자심리를 자극하며 월가에 낙관론이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국내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는 올해 3분기 순이익 전망치가 4조9,646억원으로 전년 동기(4조9,988억원)와 유사한 수준에 그칠 전망이다. 연간 기준으로는 약 10% 증가한 18조1,335억원으로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되지만, 정부 정책 영향으로 향후 성장 여력은 제한적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정부는 15일 발표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서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한도를 주택가격 구간별로 차등화했다. 시가 15억~25억원은 4억원, 25억원 초과는 2억원까지만 대출이 가능하다. 금융위원회는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산정 시 적용되는 가산금리도 현행 1.5%에서 3%로 상향하기로 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금리 인하기에 대출 수요가 급증할 가능성을 선제적으로 차단하려는 조치지만, 은행 입장에서는 여신 여력이 줄어들어 수익성 하락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미국 은행들이 규제 완화와 시장 활력으로 호실적을 자축하는 동안, 국내 은행들은 ‘상생금융’과 ‘대출총량 관리’라는 이중 족쇄 속에서 성장 전략을 다시 짜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폴리뉴스 김지혜 기자]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