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경제] 생성형AI, 제품에 어떻게 접목하나

[이슈&경제] 생성형AI, 제품에 어떻게 접목하나

최병호 고려대 인공지능연구소 교수

생성형AI를 제품에 어떻게 접목하면 우리 삶의 질을 개선하고, 비즈니스 경쟁력을 극대화하면서, 국력을 강화할 수 있을까. 답을 발명하려면 우리에게 국가를 대표하는 인공지능(AI) 기술만큼이나 K-문화상품을 기획할 AI 서비스 전략이 필요하다. 아이폰 모멘트. 역사는 이럴 때 가장 먼저 교과서로 참조할 만하다.

 

우리의 미래 먹거리는 아이폰처럼 돌이킬 수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그리고 생성형AI 기술이 전면화된 낯선 제품이다. 아이폰을 처음 발표하던 날 킬러앱을 ‘통화’라 했다. 익숙해진 불편함은 편안하다. 혁신 제품이 등장하기 전까지 말이다. 사용자가 경험하는 모든 통화 프로세스와 시스템이 새로운 질서와 문법으로 환골탈태하면 기존 질서와 문법인 피처폰은 부지불식간에 역사박물관으로 물리력 없이 강제로 퇴장당한다. 우리는 이것을 아이폰 모멘트라 불렀다. 이제는 생성형AI 기술을 결합한 아이폰 모멘트가 우리에게 절박하다. 이럴 땐 생성형AI 기술 때문에 갑자기 달라진 사람의 행동 패턴을 통찰할 필요가 있다.

 

밤새우면서 사람이 아닌 대상과 대화한 적이 있는가. 누군가 대화했다고 들은 적은. 그 대상이 놀랍게도 생성형AI 기술이 아닌가. 심지어 결제까지 했다지. 이것을 아이폰 생일날처럼 킬러앱으로 환원해 이야기한다면 무엇이라 부를 수 있는가. 우리 시대의 킬러앱은 혹시 ‘대화’가 아닐까. 지금까지 익숙했던 모든 대화 프로세스와 시스템이 낡은 질서와 문법이란 말인가. 그러고 보니 대화할수록 이상하게 대화는 더 안 되는 것 같고, 나 자신과의 대화는 두려워서인지 언제 했는지 기억조차 없다. 설명할 수 없었던 이상하고 묘한 답답함이 그동안 우리를 짓누르고 있었던가. 그리고 그 사이를 들숨 들이마시듯 생성형AI 기술이 어느새 채워 가고 있었나. 사람은 기계와의 대화를 정말로 좋아한다. 그토록 한 자리에 움직이지 않고 다수가 맹렬하게 대화하는 모습을 본 기억이 거의 없다. 참으로 늘 배고팠구나. 이러한 욕구라면 전략적 투자가 당연해 보인다. 이제 제품만 기획하고 만들면 되겠네. 그런데 국부까지 축적하려면 내수용이면서 수출로 각광받는 K-2 전차 수준으로 그림이 나와야 하지 않을까.

 

약 2시간이면 충분하다. 나를 85% 남짓 복제하는 데 걸리는 시간. 나를 닮은 그리고 내가 알고 있는 사람들이 투영된 AI에이전트가 활동할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세상을 구축하는 데도 많은 시간은 필요하지 않다. 최근 관련 연구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욱이 금지된 모든 것을 풀어주는 언힌지드 모드(unhinged mode), 위트가 넘치는 재미 모드, 대화의 맥락을 깊이 있게 해석하는 성현(聖賢) 모드까지 작동한다면 인류의 대화는 그야말로 새로운 변곡점 위에 놓인다. 나와 나 그리고 나와 타인의 거리가 상당히 가까워지겠지.

 

시뮬레이션 세계에서 나와 타인의 이해를 높일 수 있다면 글로벌 수출 상품으로 급부상하지 않을까. 난제로 손꼽히는 설득도 가능할 수 있다. 지피지기 백전불태(知彼知己 百戰不殆)가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광경을 볼 날도 머지않은 것 같다. 이 정도면 ‘K-대화’라고 명명해도 좋을 듯싶다. 물론 동전의 앞뒷면처럼 생성형AI 기술은 일종의 환각 거울(hallucinatory mirror)이기도 하다. 우리가 생성한 AI에이전트의 아부와 망상에 빠져 지독한 AI정신병(AI psychosis)에 시달릴 수도 있다. 소량의 수학 오답으로 학습해도 존경하는 인물을 히틀러라고 답변하는 악마성이 있기도 한 기술이기에 우리는 한시라도 경계를 늦추지 말아야 한다.

 

우리는 우리의 뇌 외에서 우리의 장기 기억을 벡터로 저장하고 인출하는 것이 매우 자연스러운 시대로 곧 진입한다. 그 메모리 기반 위에 AI에이전트와 협력해 적절한 순간에 통제된 맥락적 제안을 받으면서 우리는 모든 대화를 진행할 것이다. 생경하게 등장할 새로운 아이폰 모멘트는 그리 멀리 있지 않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