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인트경제] 26일 저녁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센터 화재 직후 금융그룹들은 긴급 비상 대응에 나섰다.
28일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외부 침수조에 냉각작업 중인 리튬이온 배터리 위로 빗방울이 떨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28일 우리금융그룹은 화재 직후 즉시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그룹 위기대응협의회를 중심으로 매뉴얼에 따라 시스템 영향도를 점검하고 고객 안내 및 대체 수단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대체 신분증을 활용한 거래 지원을 실시하고 있으며, 우리WON뱅킹 앱과 은행, 증권, 보험 등 각 계열사 홈페이지 및 콜센터를 통해 고객 안내를 강화하는 다각적인 조치를 시행 중이다. 전산 복구가 지연될 경우에 대비해 영업점 중심의 보완 절차와 긴급 전산 개발 준비도 완료했다. 그룹 차원에서 신속한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29일 영업 개시 전 회의를 통해 고객 서비스 현황을 재점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고객 서비스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삼아 불편 최소화를 위해 전사적 대응을 지속할 방침이다.
이날 하나금융그룹은 금융 서비스 안정과 손님 불편 최소화를 위한 비상대응체계를 가동했다고 밝혔다. 지난 26일 화재 발생 직후 그룹은 즉각 대응에 나섰으며, 27일 그룹 리스크부문장(CRO) 주재 회의를 개최해 전 관계사의 영향도를 파악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및 대응 체계를 구축했다.
하나금융그룹 명동사옥 전경 /하나금융 제공
그룹 ICT 부문은 화재로 인한 손님 불편 예상 항목을 선제적으로 점검하기 위해 중요 전산 체크 리스트를 선정해 하나은행, 하나증권, 하나카드 등 관계사에 배포했다. 또한 전산 복구 지연에 대비한 대응 방안도 마련해 그룹 차원의 비상대응체계를 운영 중이다.
주요 관계사인 하나은행은 은행장 주재로 ‘국정자원 대응 TFT’를 구성해 각 사업그룹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업무 영향도를 점검했다. 다음주 월요일 업무 개시에 대비해 전직원 대상 중요 안내사항을 배포하고 영업점 손님 응대 메뉴얼도 준비했다.
하나금융은 그룹 데이터센터 안정성 확보를 위해 청라 그룹통합데이터센터 내 서버와 무정전전원장치(UPS) 관리 체계를 긴급 점검했다. 장애 시스템 재가동과 안정적 서비스 정상화를 위한 사전 점검도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