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윤기백 기자] 서울시가 한강버스의 잇단 결함 논란 속에 정식 운항 열흘 만인 29일부터 한 달간 시민 탑승을 중단하고 ‘무승객 시범운항’으로 전환하기로 하자, 고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시민 안전과 직결된 사안에 성급하게 배를 띄웠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
고 의원은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출근용 배를 한 달간 중지시킨다고 하니 출근도 한 달간 중지시켜 주시는 겁니까. 진작에 마쳤어야 할 시범운항을 이제서야 합니까”라며 “성능 점검조차 마치지 않은 배에 서울시민을 태운 성급함에 대해 오세훈 시장은 사과해야 한다”고 글을 적었다.
서울시는 보도자료 등을 통해 “운항 초기 최적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적·전기적 미세 결함이 원인”이라며 10월 말까지 시민 없이 기존 시간표대로 하루 14회 실운항을 반복해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미 판매한 정기권 요금 5000원은 환불한다.
한강버스는 지난 18일 정식 운항을 시작했으나 22일 전기 계통 이상, 26일 방향타 고장 등 이상 상황이 연이어 발생해 운항이 중단됐다가 재개되는 일이 반복됐다. 이 과정에서 ‘출근용 대중교통’으로서의 적정성과 안전성에 의문이 제기돼 왔다.
고 의원은 “열흘 새 4번째 고장”을 거론하며 “한 번은 실수일 수 있지만 두 번은 실력”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토허제(토지거래허가제) 해제도 졸속으로 발표했다가 결국 한 달 만에 번복했다”며 “교통수단은 시민 안전과 직결된 만큼 최소한의 성능 점검을 마친 뒤 운항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시는 한 달간의 무승객 시범운항 기간 동안 선체 주요 부품과 기계·전기 계통의 통합 성능을 최적화하고, 선장·기관장 등 운항 인력의 숙련도를 높이는 한편 제작사 엔지니어와 협업해 선박별 맞춤 정비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시는 시범운항 종료 이후 하이브리드·전기 선박을 추가 투입해 배차 간격을 줄이고 운항 시작 시각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