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스타in 김가영 기자] ‘개그계 대부’ 전유성이 28일 영면에 들었다. 이날 오전 6시 서울 송파구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서 열린 영결식에서 유족과 수많은 코미디언 후배가 눈물 속에 고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
이홍렬은 추도사에 “무대 위 혁신가이자 무대 뒤 스승이었다”면서 “웃음이 한 사회의 공기이고 문화임을 증명한 사람”이라고 고인을 기억했다. 이어 김신영은 “며칠 전까지 병원에서 얘기나누고 사진도 찍고 게임 하시던 모습이 눈에 선한데 이제 마지막 인사를 드리게 됐다”고 말했다.
제자인 김신영은 고인이 눈을 감기 전 나흘간 병실에서 시간을 함께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제자를 넘어 친구라고 불러주셨다. 그 따뜻한 마음을 평생 간직하겠다”며 “훗날 저희가 그 길을 따라가면 꼭 마중 나와달라. 늘 즐거웠고 감사했다. 사랑하는 우리 교수님, 전유성 선배님, 나의 어른. 사무치게 그립고 보고 싶다”며 눈물을 쏟았다.
최양락은 “이 땅에 개그맨이라는 호칭을 처음 만들었고 ‘개그콘서트’를 만든 분이었다”며 “따라 할 수 없는 열정으로 대한민국 최초 코미디학과를 개설하고 코미디 소극장 등을 통해 후진양성을 몸소 실천한 인정 많으신 분”이라고 추도했다.
|
이날 진행된 영결식 사회는 이수근이 맡았고, 개그맨 겸 목사인 표인봉이 기도를 올렸다. 후배 김정렬은 고인이 가장 좋아했다는 ‘숭구리당당’ 퍼포먼스를 선보이며 마지막 배웅을 했다. 발인을 마친 운구 행렬은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BS로 이동해 고인이 생전에 애정을 많이 기울인 공개방송 프로그램 ‘개그콘서트’ 무대에 올랐다.
고인은 전형적인 코미디에서 벗어나 공연과 결합한 다양한 공개 무대를 만들어 후배들의 설 자리를 마련한 인물이다. KBS 간판 개그 프로그램인 ‘개그콘서트’의 창립 멤버이자 기획자로 꼽히며, 코미디 전문극장인 철가방 극장을 열고,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개최에도 기여했다. 희극인이나 코미디언이라는 말로 불리던 시절, ‘개그맨’이라는 명칭을 만들어 코미디를 하나의 문화예술 장르로 다지는 역할을 했다.
고인은 코미디언들의 스승이라고 불릴 정도로 후배들 사이에서 신망이 두터웠다. 사흘간 빈소에는 심형래, 유재석, 강호동, 김용만, 남희석, 이경실, 지석진, 신봉선, 이봉원, 이수근, 김경식, 이동우, 윤성호, 오나미, 허경환, 김지민 등이 찾아와 조문했다. 배우 송승환, 가수 서수남, 박상철 등도 고인을 추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