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값 그대로인데…중량 줄이고 부위 바꾸는 ‘꼼수 인상’ 확산

치킨값 그대로인데…중량 줄이고 부위 바꾸는 ‘꼼수 인상’ 확산

교촌 허니시리즈./교촌치킨 홈페이지.

| 한스경제=양지원 기자 | 치킨업계에서 가격을 올리지 않으면서도 중량을 줄이거나 사용 부위를 바꾸는 ‘꼼수 인상’이 이어지고 있다. 소비자들은 가격은 그대로인데 양이나 품질이 달라지는 이른바 ‘슈링크 플레이션’에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교촌에프앤비가 운영하는 교촌치킨은 최근 순살치킨 메뉴의 중량을 최대 30% 가까이 줄였다. 가격은 동결했지만 제공량이 줄어든 만큼 소비자 체감 물가는 오히려 상승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재료 구성도 달라졌다. 기존에는 닭다리살 100%를 사용했지만 닭다리살에 안심을 일부 혼합하는 방식으로 바꿨다.

이는 새로 출시한 마라레드순살, 반반순살 등 신메뉴 10종뿐 아니라 기존 후라이드 순살, 양념치킨 순살 등 4종에도 일괄 적용됐다.

교촌은 지난달에도 원산지 변경으로 소비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국산 닭을 사용하던 ‘윙’ 시리즈를 단종시키고, 대신 태국산 닭고기를 사용한 ‘윙박스’를 내놓은 것이다. 품질 변화에 대한 소비자 우려가 제기되는 대목이다.

앞서 농협경제지주 자회사 농협목우촌의 ‘또래오래’ 역시 비슷한 방식을 택했다. 지난 8월 치킨에 사용하는 닭 크기를 기존 11호에서 100g가량 작은 10호로 교체했다. 역시 가격은 그대로 둔 채 양을 줄인 사례다.

업계의 이런 움직임은 정부의 물가 관리 정책과 맞물린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가 외식 물가를 집중 관리하는 상황에서 업체들이 직접적인 가격 인상에는 부담을 느끼다 보니, 중량 축소나 원재료 변경 같은 간접적 방식으로 대응한다는 것이다.

이 같은 ‘슈링크 플레이션’은 단기적으로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여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소비자 신뢰를 떨어뜨리고 시장 전체의 건전성을 해칠 수 있는 우려가 제기된다. 업계가 가격·품질·소비자 만족 사이의 균형을 모색해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