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당국 급습한 공장 어떤 곳…6조원 들여 年30만대 배터리 생산

美당국 급습한 공장 어떤 곳…6조원 들여 年30만대 배터리 생산

LG엔솔·현대차 합작해 美현대차그룹 배터리 공급 거점 조성중

내년 가동 예상됐으나 차질 불가피…LG엔솔 “직원 석방이 최우선”

미 국토안보수사국 영장에 첨부된 공장부지 사진

(워싱턴=연합뉴스) 홍정규 특파원 = 미 국토안보수사국이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 공장 수색영장에 첨부한 ‘목표 구역’ 사진

(서울=연합뉴스) 조성흠 기자 = 미국 정부의 대규모 불법체류자 단속으로 300여명의 한국인이 구금당한 미국 조지아주의 배터리공장은 LG에너지솔루션과 현대차가 6조원을 투자해 건설 중인 시설이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양사는 2023년 북미 배터리 합작법인 설립에 대해 계약하고, 미국에 배터리셀 합작공장 ‘HL-GA 배터리회사’를 짓기로 했다.

합작공장은 미국 조지아주 앨라벨에 약 300만평 규모로 조성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부지 한쪽 끝에 자리 잡았다.

양사는 43억달러(약 6조원)를 공동 투자해 연간 약 30GWh, 전기차(EV) 약 30만대 분량의 배터리셀을 양산할 수 있는 규모로 공장을 짓고 있다.

이후 양사가 추가로 20억달러(약 2조8천억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조지아주가 발표한 것까지 합치면 전체 투자 규모는 9조원에 육박한다.

이곳에서 생산한 전기차용 리튬이온 배터리셀은 역시 HMGMA 부지 내에 있는 현대모비스로 옮겨져 배터리팩으로 제작된다.

이들 배터리팩은 HMGMA와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 기아 조지아 공장 등 현대차그룹의 미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전기차에 전량 공급될 예정이다.

현대차그룹은 미국 생산 차량에 최적화된 배터리셀을 현지 조달해 고효율·고성능·안정성이 확보된 높은 경쟁력의 전기차를 적시에 생산, 판매할 계획이다.

HL-GA 배터리회사는 이처럼 전체 배터리 시스템 및 완성차를 아우르는 통합 생산·관리 체계의 시작점인 동시에 핵심 공급 기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됐다.

美 이민당국이 공개한 현대차-LG엔솔 이민단속 사진

(워싱턴=연합뉴스) 이유미 특파원 =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과 사진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그러나 이번 대규모 단속 사태 이후 이 같은 계획은 차질이 불가피하게 됐다.

2023년 하반기 착공한 공장은 올해 공정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내부 설비 공사와 함께 주요 생산 장비 반입에 착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내년 초 가동이 가능할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으나, 이번 사태로 인해 일정이 상당 기간 지연될 전망이다.

LG에너지솔루션 관계자는 “현재는 LG에너지솔루션 및 협력업체 직원들의 신속한 석방이 최우선”이라며 “공장 건설 일정을 예상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난 4일(현지시간)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 등은 조지아주 서배나에 위치한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배터리회사) 건설 현장에서 대대적인 불법체류자 단속을 벌였다.

이로 인해 LG에너지솔루션 소속 47명(한국 국적 46명·인도네시아 국적 1명)과, HL-GA 베터리회사 관련 설비 협력사 소속 인원 250여명이 구금됐다.

josh@yna.co.kr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