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컬처 박동선 기자] 배우 공명이 전역 후 네 번째 작품 ‘고백의 역사’를 매듭지으며, 연령, 장르를 넘나드는 배우로서의 순수열정을 고백했다.
최근 서울 종로구 한 카페에서 넷플릭스 영화 ‘고백의 역사'(감독 남궁선, 8월29일 공개) 남주인공 공명과 인터뷰를 가졌다.
‘고백의 역사’는 1998년 부산, 열아홉 소녀 ‘박세리’가 일생일대의 고백을 앞두고 평생의 콤플렉스인 악성 곱슬머리를 펴기 위한 작전을 계획하던 중 전학생 한윤석(공명 분)과 얽히며 벌어지는 청춘 로맨스 영화다.
공명은 극 중 서울에서 전학온 한윤석 역으로 분했다. 남모를 깊은 사연과 함께 시니컬한 듯 순수한 모습을 기본으로 상대배우 신은수(박세리 역)와의 풋풋한 하이틴 로맨스는 물론, 은희(어머니 백장미 역)과의 애틋한 모자케미까지 담백하면서도 감성적인 로맨스 남주로서의 모습을 제대로 보여줬다.
이는 직전의 넷플릭스 시리즈 ‘광장’ 구준모 역의 파격면모는 물론, ‘내가 죽기 일주일 전’ 김람우 역, ‘금주를 부탁해’ 서의준 역 등 올해 잇따라 선보인 로맨스호흡과도 좀 다른 신선한 공명만의 연기감각으로 비쳐지며, 안방극장과 업계 관계자들을 새롭게 주목시켰다.
공명은 인터뷰동안 캐릭터 ‘한윤석’을 바로 옮긴 듯한 순수담백하면서도 유쾌한 모습으로 작품과 자신의 이야기를 건넸다.
-작품 출연 계기?
▲리메이크가 아닌 오리지널 청춘 로맨스를 오랜만에 보기도 했고, 작품 자체가 귀엽고 사랑스러운 이미지라 정말 하고 싶었다. 또한 그 안에 있는 ‘윤석’이 지금 공명의 청춘을 보여줄 수 있는 좋은 캐릭터라고 생각했다.
-‘한윤석’ 캐릭터 해석은 어떻게 했나?
▲감독님 말씀처럼 전학생으로서의 어색한 부분이나 내성적인 분위기가 평소 나와 비슷한 톤이라 생각했다. 교복 연기를 위해 많은 준비를 하지는 않았다. 다만 함께 나오는 동료들과의 나이 차이를 감안해 다이어트나 피부 관리 등 비주얼적인 부분을 조금 신경 쓰긴 했다(웃음). 시대적인 배경에 있어서는 당시 나온 가요들을 들으며 공감하고 접근하려고 했다.
-윤석 캐릭터로서의 호흡이 본인의 학창 시절과는 좀 달랐을 텐데 어땠나?
▲ 내가 생각했던 윤석은 학업에 치여 살았던 서울에서의 생활과 부산에서의 모습이 달랐을 것이라 보았고, 그 가운데서 학생들 사이에서의 인기 여부는 크게 연연하지 않았을 거라 생각했다. 그와 관련해서 내 실제 학창 시절은 이러저러한 변화는 딱히 없었고, 동생(NCT 도영)이 말한 수준은 아니었지만 인기가 없지는 않았다(웃음).
-현장 분위기는 어땠나? 관련 에피소드가 있나?
▲개인적으로는 첫 부산 올 로케이션 촬영이었던지라 분위기 몰입이나 적응에 더 좋았던 것 같다. 화기애애한 현장 분위기 속에서 맏형으로서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하기도 했다. 매 현장마다 함께했던 선배들의 모습을 떠올리며, 수많은 단체 신에서 이들과 어울리면서도 촬영에 집중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자 했다. 그 가운데서 성래(윤상현 분)의 연기 때문에 폭소를 멈출 수 없었던 순간들도, 생전 처음 학알을 처음 접어보는 순간들도 재미있었다.
-작품 속 몰입되는 장면을 꼽자면?
▲전반적으로 몰입감이 강했다. 그중에서 윤석과 세리(신은수 분) 사이의 고백 분위기와 처음 손잡는 순간이 설렘을 주는 듯했다. 또한 첫 뽀뽀 신은 시청자들에게 설렘을 전하고 싶다는 생각에 감독님은 물론 은수 배우와 많은 이야기를 나누며 포인트를 잡으려 했던 기억이 있다.
-신은수 배우와의 호흡은 어땠나?
▲ 정말 좋았다. 무엇보다 배울 게 많았다. ‘반짝이는 워터멜론’ 속 수어 연기를 감명 깊게 봤는데, 그러한 장면을 위한 은수 배우의 노력을 새삼 실감하게 됐다. 특히 부산 사투리 연기는 나도 뒤처지지 않으려고 함께 노력해야겠다는 마음이 절로 들 정도로 열정을 보였다. 그래서 ‘고백의 역사’ 이야기를 할 때면 늘 은수 배우 이야기를 하곤 한다.
-첫 자체 시사회 때 눈물을 흘린 것으로 알려졌는데, 왜 그랬나?
▲ 완성본 전체의 상황에 몰입하다 보니 그랬다. 특히 엄마인 홍은희 선배님이 멍투성이가 된 장면부터 슬픈 감정이 올라왔다. 해당 장면은 있는 그대로의 상황에 몰입해달라는 감독님의 지시와 함께, 성숙하지 못한 고3 청소년으로서의 내면적 슬픔에 집중해 ‘부산 가고 싶어요’라고 대사를 바꾸면서 완성했다. 세리를 향한 고백 노트 등 과거사까지 함께 연결되어 나오는 해당 장면과 감정 서사들이 떠올라 눈물이 났다.
-전역 직후 올해만 네 번째 작품이다. ‘열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좋아하는 장르가 있다면?
▲ 군 복무 당시 다작과 함께 ‘공명’이라는 배우의 캐릭터 폭을 다양하게 만들자는 생각을 했다. 물론 체력적으로는 좀 어렵긴 하지만 이렇게 여러 작품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 자체가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장르적으로 봤을 때는 올해 세 편이 그러했듯 로맨스물이 좋고, ‘광장’의 준모 역과 같은 누아르·액션 타입의 전혀 다른 캐릭터도 좋다. 앞으로도 다작을 하면서 배우로서의 목표를 명확히 하고 싶다.
-공명에게 ‘고백의 역사’ 속 한윤석이 남긴 의미는 무엇인가?
▲ 전작에서도 교복을 입긴 했지만, 아예 고교생 캐릭터로 나온 것은 내 필모그래피 가운데 흔치 않다. 공명의 진짜 청춘을 보여줄 수 있는 풋풋하고 청량한 느낌의 캐릭터였다고 생각한다.
뉴스컬처 박동선 dspark@nc.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