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과 연구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제약바이오 기업의 R&D 조직 개편이 활발하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6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차세대 융합나노소재 기업 에이유랩스는 최근 연구개발(R&D) 조직을 전면 개편했다.
에이유랩스는 이번 개편을 통해 부설 연구소를 확장하고 바이오 및 나노소재 분야는 박사급 전문 연구진을 대거 영입했다.
그동안 축적해온 기능성 나노소재 원천 기술을 기반으로 응용성과 상용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조직 개편을 추진했다는 게 회사의 설명이다.
새로 합류한 연구진은 소재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제품화까지 이어지는 전주기적 연구, 개발, 상용화 체계를 완성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를 통해 회사는 나노 기술을 연구 단계에서 진화시켜 실제 산업 현장과 소비자 제품으로 연결하는 실용화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현재 에이유랩스가 추진하고 있는 연구 분야는 ▲피부 흡수율은 높인 고기능성 소재 ▲광활성 기반 콜라겐 생성 유도 기술 ▲차세대 치부 전달 플랫폼 ▲반도체 공정 개선 소재 개발이다.
에이유랩스 관계자는 “이번 조직 개편은 단순한 확장의 개념보다는 기술 기업 정체성을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동국제약 역시 지난해 R&D 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연구 조직을 개편했다.
기존 생명과학연구소를 통합해 중앙연구소, 제제기술연구소, DK의약연구소 체계로 재편했다. 제제기술연구소 산하 SUPAC팀, 임상·인허가를 전담하는 개발본부 신설로 연구개발 전주기를 아우르는 체계를 구축했다. 이 과정에서 인력도 보강했다.
중앙연구소에선 연구기획·제제연구·개발기획 총괄과 허가·임상, 주사제·의료기기, 바이오 연구를 맡는다. 제제기술연구소에서는 분석 연구 및 SUPAC를 담당하고 있다. DK의약연구소에서는 기술 연구 및 신약 연구를 담당한다.
동국제약은 또 지난달 경기 광교에 위치했던 중앙연구소를 과천으로 이전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