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을 겨냥한 6·27대책 시행으로 지방이 상대적으로 반사이익을 볼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지만 여전히 분양시장은 썰렁한 분위기다.
뉴시스 보도에 따르면, 18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지난달 비수도권 지방에서 청약 모집 공고를 한 아파트 단지 16곳 중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이 1대 1을 밑돈 단지는 10곳(62.5%)에 달했다.
한 예로 충남 부여군의 A 단지는 지난달 1·2순위 청약 진행 결과 413가구 모집에 37건만 신청해 미달됐다. 마찬가지로 충남 아산의 B단지는 450가구 모집에 단 10건만 접수됐다.
광역시에 공급된 브랜드 아파트도 청약 미달을 피하지 못했다. 부산시 부산진구에서 1군 건설사가 시공사를 맡은 C단지는 691가구 모집에 신청자는 288명에 그치며 미달됐다.
평균 청약경쟁률 1대 1을 아슬아슬하게 넘긴 지역도 부지기수로 나타났다. 전북 정읍의 D단지는 212가구 모집에 365건이 접수돼 평균 1.72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다만 전용 84㎡의 경우 196가구 모집에 216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1.1대 1을 기록했다.
6·27대책은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주택담보대출 한도 6억원 제한 ▲6개월 내 전입 신고 의무 ▲다주택자 주담대 금지 등을 적용하는 게 골자다.
이로 인해 수도권 주택 매수가 어려워진 투자 수요가 규제에서 벗어난 지방의 청약시장으로 눈을 돌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다만 주택산업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75.1로 전월 대비 21.9p 하락했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분양 전망을 긍정적으로 보는 사업자가 더 많고, 100 미만이면 반대 상황을 의미한다.
특히 수도권뿐 아니라 경북 42.9p(100.0→57.1), 전남 31.7p(91.7→60.0), 충북 30.0p(80.0→50.0), 경남 25.0p(100.0→75.0), 강원 24.2p(90.9→66.7), 대전 21.4p(100.0→78.6) 등 비수도권도 하락 전망이 우세했다.
이는 6·27대책으로 거래량이 줄어들고 수도권 집값 오름세가 주춤하면서 투자 수요가 지방 청약 시장으로 이동하기보다 관망세로 돌아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다만 지방 청약시장에서도 우수한 입지의 알짜 단지는 침체된 분위기와 정반대의 청약 흥행을 이끄는 모습이다.
부산 해운대구 재송동 ‘르엘 리버파크 센텀’은 지난달 21일부터 사흘간 진행된 1·2순위 청약 결과 1961가구 모집에 총 9885건의 청약 통장이 접수되며 평균 경쟁률 5.04대 1을 기록했다.
마찬가지로 부산 수영구 남천동 ‘써밋리미티드 남천’도 720가구 모집에 1만6987명이 몰리며 흥행했다. 특히 전용면적 84㎡ 24가구 모집에 7840명이 신청하며 1순위 평균 경쟁률이 326.67대 1까지 치솟았다.
김인만 김인만부동산경제연구소장은 “2020~2021년과 지금 시점의 차이는 극심한 양극화”라며 “오를 곳만 오르다보니 부산의 경우도 상위 20%에 해당하는 지역만 청약 흥행이 가능한 상황이다. 보다 강력한 세제 혜택을 주지 않는 한 지방 청약시장이 살아나긴 힘들어 보인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