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황병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18일 국무회의에서 “고의적 왜곡 및 허위 정보는 신속하게 수정해야 하며 그에 따른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게 마땅하다”고 말했다.
|
이 대통령은 이날 오전 국무회의에서 ‘정부 홍보 효율화 방안’을 주제로 토의하던 중 “언론이 정부를 감시·견제하는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 대통령은 또 “정부 부처의 홍보 실적 평가 기준을 재점검해야한다”면서 “각 부처의 자체 홍보 수단 및 운영 실태를 파악해 보고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정부 정책을 국민께 정확하게 설명하고 정책 효과를 체감할 수 있게 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돈을 주고 홍보하는 것보다 직접 국민과 얼굴을 맞대고 소통하는 게 중요하다. 공급자의 편의보다 수용자인 국민의 입장에서 끊임없이 고민해 더 나은 대안을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울러 “민감한 핵심 쟁점을 국민께 알리는 공론화 과정은 반드시 거쳐야 한다”면서도 “최대한 속도를 내더라도 졸속이 되지 않게 잘 챙겨달라”고 강조했다.
이날 토의는 문화체육관광부가 마련한 것으로, 정책 홍보를 강화하고 정부 광고 효과를 높이기 위해 정부 부처와 장·차관의 사회연결망서비스(SNS)를 활성화하는 등의 내용이 발표됐다. 이 외에도 디지털 중심으로 정부 홍보 기술을 대전환하고 범정부 차원의 홍보 지원 시스템을 혁신하며, 디지털 소외계층에 특화된 홍보를 추진하는 등 정부 홍보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도 담겼다.
문체부의 발표 이후 국무위원들 간의 자유 토론이 이어졌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디지털 광고 비중이 65%에 달한다는 보고를 짚으며 정부 광고 효과를 제3의 기관이 검증해 광고 집행의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외에도 정부의 광고 집행이 달라진 미디어 환경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과 함께 정부 정책에 대해 사실이 아닌 내용이 보도될 경우 이를 분명하게 짚고 넘어가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