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로드]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국내 상장사들의 자사주 소각이 전년 대비 2.6배로 급증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6월부터 8월 중순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들의 주식 소각 결정 건수는 총 45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50% 증가했다. 소각 예정 주식 수는 1억4천527만 주, 소각 예정 금액은 5조8천379억 원으로, 이는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각각 256%와 164% 늘어난 수치다.
이러한 증가 추세는 정치권에서 논의 중인 자사주 소각 의무화 움직임에 대한 재계의 자율적 대응으로 풀이된다. 상장사들은 주주가치 제고와 주주환원 정책 확대를 소각의 주요 목적으로 밝히며,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식 수를 줄여 주가 상승을 도모하고 있다.
주요 소각 사례로는 HMM이 8천180만 주, 2조1천432억 원 규모로 가장 컸고, 신한지주와 KB금융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자사주 소각을 통해 주주권 보호와 기업가치 제고를 꾀하며, 법적 강제 없이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려는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자사주 소각 발표가 주가 부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이러한 결정이 단기적 이벤트로 작용할 가능성을 경고했다. 올 들어 8월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들은 총 177건의 주식 소각 결정을 공시했으며, 소각 예정 주식 수는 4억1천530만 주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