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軍인터넷 대상 해킹 시도 9천건 넘어…다수 북한발 추정

상반기 軍인터넷 대상 해킹 시도 9천건 넘어…다수 북한발 추정

유용원 “치명적 피해 우려…대통령 직속 컨트롤타워 설치해야”

軍 내부망 해킹 中 선양서 접속…”北 악성코드와 유사”(CG)

[연합뉴스TV 제공]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올 상반기 군 인터넷을 겨냥한 사이버 침해 시도가 9천건을 돌파해 5년 사이에 가장 많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군에서는 북한에 의한 공격이 다수인 것으로 보고 있다.

17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 유용원(국민의힘) 의원이 사이버작전사령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반기 군 인터넷 대상 사이버 침해 시도 건수는 총 9천262건을 기록했다. 홈페이지 침해 시도가 9천193건, 해킹 메일이 69건이었다. 악성코드는 없었다.

사이버 침해 시도는 전반기 기준으로 2021년 6천146건, 2022년 4천926건, 2023년 6천791건, 2024년 6천349건이었다. 올해 눈에 띄게 급증한 것이다.

사이버사령부는 “침해 시도 세력들을 정확히 특정할 수는 없으나 경유지 IP 국가와 침해 시도에 사용된 각 IP 간의 연관성을 비춰볼 때 북한에 의한 공격이 다수를 이루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군은 대응 체계 고도화를 통해 확고한 사이버 대비 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최근 전쟁 양상이 단순한 물리적 충돌을 넘어 사이버전으로 확장되는 가운데 군 인터넷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침해 시도가 사실상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사실은 매우 심각한 경고 신호라고 유 의원은 지적했다.

유 의원은 “군의 온라인망은 단 한 차례의 침투만으로도 지휘 통제 체계와 핵심 정보 자산에 치명적인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 의원은 군 당국이 보안관제 시스템 정비, 정기적 모의 침투 훈련, 간부 대상 보안 교육 강화 등으로 사이버 공격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고 실효성 있는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날로 고도화·지능화되는 사이버 위협에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기 위해, ‘대통령 직속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 설치’ 등 관련 법령 정비에도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방산업체가 최근 4년간 사이버 공격에 의한 침해를 받고 군에 신고하는 사례도 꾸준히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고 건수는 2021년 5건, 2022년 2건, 2023년 4건, 2024년 16건으로 집계됐다.

구분 ’21년
전반기
’22년
전반기
’23년
전반기
’24년
전반기
’25년
전반기
6,146 4,943 6,805 6,401 9,262
홈페이지 침해시도 6,101 4,926 6,791 6,349 9,193
악성코드 13 5 1 0 0
해킹메일 32 12 13 52 69
(단위: 건) (자료=유용원 의원실)

lisa@yna.co.kr

Author: NEWSPIC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